3분기 제조업 취업자 5만8000명 감소, 11분기 만에 최대

입력 2023-10-22 10:30수정 2023-10-22 17:3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올 들어 3분기째 마이너스

올해 3분기 제조업 취업자가 코로나 펜더믹 이후 11분기 만에 가장 많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월평균 제조업 취업자는 446만6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5만8000명 감소했다. 이는 코로나19가 확산하던 2020년 4분기 10만7000명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이다.

팬데믹 기간 부진했던 제조업 취업자 수는 지난해 3분기 21만4000명까지 늘었다가 4분기 12만9000명으로 소폭 줄었고 올해 1분기 3만7000명 감소하며 6분기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이어 2분기 4만9000명 감소에 이어 3분기에도 감소 폭을 키웠다.

올해만 보면 월 기준으로 9개월 연속 감소세가 지속하고 있다. 4월 제조업 취업자 수 감소 폭(9만7000명)이 가장 컸지만 8∼9월 7만 명 내외 감소세가 이어지면서 분기 기준으로는 3분기가 가장 부진했다.

제조업 고용 부진은 지난해 취업자가 많이 늘어난 데에 따른 기저효과, 제조업 생산 감소 등 영향으로 분석된다.

일각에서는 최근 반도체 생산·수출이 개선되고 있는 만큼 제조업 고용 사정도 나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지만, 고용 시장 훈풍으로 이어지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자본 집약적인 산업 특성상 반도체 제조업은 고용 유발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국개발연구원(KDI)이 5월 발표한 '최근 반도체 경기 흐름과 거시경제적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반도체 산업의 취업 유발 계수는 2.1로 전체 제조업(6.2)의 3분의 1에 불과하다.

제조업은 한국 경제의 근간으로 전체 취업자 중 제조업 취업자 비중이 산업화 시대는 20%를 웃돌았다. 그러나 2000년대 중반 이후 16~17%대를 유지해 오다 2021년 2분기(15.9%) 처음으로 15%대로 떨어진 뒤 반등하지 못하고 15~16%대를 맴돌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