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익표 "가결파 징계, 윤심원서 판단…이균용·김행 등 부적격"

입력 2023-10-03 16:5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상 비판·의견개진 가능토록 기강·규율 강화"
"김기현에 어떤 권한 있나…反정부 합의 가능한가"
"국감, 尹정부 실정 바로잡을 기회…24시간 상주"

▲<YONHAP PHOTO-2295> 추석민심 기자간담회 하는 홍익표 원내대표 (서울=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더불어민주당 홍익표 원내대표가 3일 오후 국회에서 추석민심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2023.10.3 uwg806@yna.co.kr/2023-10-03 14:55:20/<저작권자 ⓒ 1980-2023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3일 이재명 대표 체포동의안 표결 에서 가결표를 던진 비명(비이재명)계 징계 여부에 대해 "당내 윤리심판원이 판단할 문제"라며 말을 아꼈다. 6일 본회의 표결 예정인 이균용 대법원장 임명동의안에 대해선 사실상 부결을 시사했다.

홍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추석민심 기자간담회에서 비명계 중심의 소위 '가결파' 의원 징계 가능성과 관련한 질문에 "(윤리심판원은) 독립적인 기구다. 당대표를 포함해 저도 그것에 대해 왈가왈부할 권한이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우리 당이 가진 시스템, 제도적 절차에 의해 다루고 판단할 문제"라고 덧붙였다.

이 후보자를 비롯해 김행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신원식 국방부 장관 후보자·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윤석열 대통령의 '인사 참사'로 규정하고 지명 철회를 촉구했다.

홍 원내대표는 이들을 거명하며 "공직자로서 도덕성과 자질이 현격히 부족한 인사를 철회해야 한다"며 "이와 같은 참사를 초래한 인사 검증 담당자에게도 이에 상응하는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했다.

특히 이 후보자에 대해선 "청문회를 했던 박용진 의원 등 인사청문특위 위원들의 입장이 굉장히 강경하다"며 "의원총회에서 의견을 모아보겠지만 당론으로 채택할 것인지 그럴 필요도 없는지 들어보고 결론을 낼 생각"이라고 말했다. 동석한 박주민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부적격한 분이 대법원장이 돼 생길 여러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며 "그걸 방관하고 용인하는 것보다는 적격자가 빨리 대법원장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저희 기본적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주식 파킹·임금 체불 등의 의혹이 불거진 김 후보자를 두고는 "청문회를 하면 장관으로서 얼마나 부적격한지 국민이 다 볼 것"이라며 "김 후보자의 몇 가지 문제점을 윤석열 검찰총장 때처럼 국무위원 후보자를 털면 어떻게 될지 궁금하다"고 꼬집었다.

당 통합 전략'을 묻는 말에는 "당내 상호존중에 바탕한 정상적인 비판, 의견 개진이 가능한 기강과 규율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답했다. 이 대표 체포동의안·구속영장 기각 사태를 거치며 친명(친이재명)계와 비명계 간 계파 갈등이 분출한 만큼, 분란 수습을 위한 대원칙을 마련하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YONHAP PHOTO-2299> 홍익표 원내대표, 추석민심 기자간담회 (서울=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더불어민주당 홍익표 원내대표가 3일 오후 국회에서 추석민심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2023.10.3 uwg806@yna.co.kr/2023-10-03 14:55:42/<저작권자 ⓒ 1980-2023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홍 원내대표는 "내 머릿속엔 친명도 비명도 없다. 오직 공명과 정명만 있다. 원칙과 기준을 갖고 일하겠다"며 ""일부 의원을 포함해 당원들의 문자 메시지 사건 등 상호존중하는 문화, 상대를 인정하는 태도가 부적절한 경우가 많다"며 "빠른 시일 내 당내 합의를 이끌어낼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원칙·기준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홍 원내대표는 "앞으로 있을 정책 현안 결정뿐 아니라 내년 공천 과정까지 모두가 인정할 원칙과 기준을 만드는 것이 첫 번째"라며 "이런 원칙과 기준을 공정하고 투명하게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선 "이 대표의 당무 복귀 이후 대표, 최고위원과 상의할 것"이라고 했다.

국민의힘이 앞서 이 대표가 제안한 영수회담 대신 여야 당대표 회담을 요구한 데 대해서는 "여당한테 어떤 협상 권한이 있는지 모르겠다"며 "멀쩡한 당대표(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를 대통령실이 개입해 윤리위원회에 회부해 물러나게 한 것이 현재 대통령실과 여당 관계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를 향해선 "정부의 독주와 반대되는 합의를 할 수 있나"라며 "최소 3명의 국무위원 후보 중 몇 명이라도 부적격자로 지명 철회를 만들고 나올 수 있다면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내주 시작되는 국정감사에 대해선 "사실상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첫 번째 국감"이라며 "정부의 잘못된 점을 지적하고 소외된 민생, 경제 관련 부분을 바로잡을 수 있는 아주 중요한 기회"라고 했다.

이어 "이번 국감에서 나온 사안은 내년 총선에서 윤석열 정부 심판의 가장 중요한 정책적 사안"이라며 "당 의원들이 긴장감을 갖고 잘할 수 있도록 국감 기간 내엔 주말을 제외하고 여기서 24시간 상주하며 국감을 진두지휘할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