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아파트값 회복세…전고점의 85%까지 올랐다

입력 2023-09-17 09:0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 전망대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고이란 기자 photoeran@

올해 수도권의 아파트값이 회복세를 보이면서 전고점의 85% 수준까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2021년 하반기~작년 상반기 최고가 거래 총액과 올해 최고가 거래 총액을 평균 내 비교한 결과 수도권 아파트값은 전고점의 85%까지 회복됐다. 2021년 하반기부터 작년 상반기까지와 올해 들어 지난 14일까지 같은 단지, 같은 면적이 거래된 아파트를 대상으로 조사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에서 2021년 하반기~작년 상반기 평균 아파트값(이하 전고점)은 12억6695만 원이었는 데 올해는 평균 11억1599만 원을 기록했다. 전고점의 88% 수준까지 올라온 수치다.

용산구는 21억3919만 원으로 전고점(22억1138만 원)의 97%까지 회복됐다. 강남구도 전고점 평균인 26억5243만 원의 96%인 25억3489만 원을 기록했다. 중구와 서초구도 전고점의 93% 수준까지 회복됐다. 종로구는 전고점과의 차이가 4600만 원 정도에 불과했다.

반면 노원구(79%)와 도봉구(80%), 동대문구(82%), 강북구(82%)는 회복률이 80% 안팎에 머물렀다.

전고점을 경신한 거래도 이어지고 있다. 강남구 개포동 디에이치아너힐즈 전용면적 84㎡는 2021년 10월 최고 26억5000만 원에 팔렸었는데 올해 8월에 4억 원가량 오른 30억2500만 원에 거래가 이뤄졌다. 강남구 압구정동 한양1차 78㎡는 2021년 4월 27억 원에서 이달 35억 원으로 8억 원이나 올랐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서울은 상급지 위주로 수요가 빠르게 회복되면서 가격이 올라온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경기도 아파트값은 전고점의 83%까지 회복됐다. 전고점 평균은 6억2785만 원, 올해 최고가 평균은 5억2012만 원이다. 회복률은 연천군이 95%로 가장 높았다. 이어 가평균(92%), 과천시(0%), 여주시(90%) 등의 순이다.

인천의 회복률은 82% 수준이다. 다만 집값 상승기에 가격 오름폭이 크지 않았던 강화군의 아파트값이 전고점의 98%로 나타나면서 전체 평균을 끌어올린 것으로 풀이된다.

경기와 인천에서는 최고가에 근접하면서 다시 10억 원대에 진입한 단지들이 나오고 있다. 경기 하남시 미사강변세트럴풍경채 84㎡는 2021년 9월 12억3250만 원으로 최고가를 기록한 뒤 올해 1월 8억3000만 원까지 떨어졌다가 6월 10억2800만 원으로 상승했다.

경기 고양시 지축역센트럴부르지오도 작년 1월 12억3000만 원에서 올해 3월 9억 원으로 내렸다가 8월 10억1000만 원까지 올라왔다. 인천 연수구 송도센트럴파크푸르지오 84㎥도 작년 2월 13억6500만 원, 올해 2월과 8월 각각 8억 원, 10억1000만 원에 거래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