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연료 섞은 비행기 뜬다…인천→LA 구간 화물기서 3개월간 시범 운항

입력 2023-09-05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기존 항공유 대비 최대 80% 탄소배출 절감, 내년 상반기까지 품질기준 마련

▲바이오항공유 급유체계. (국토교통부)
5일부터 인천에서 미국 LA로 가는 화물기에 국내에서 처음으로 바이오항공유(Sustainable Aviation Fuel, SAF)를 급유해 시범 운항에 들어간다. 정부는 3개월간 시범 운항 후 내년 상반기까지 품질기준을 마련하는 등 상용화에 나설 계획이다.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5일부터 3개월간 인천→LA 노선(화물기)에 폐식용유, 생활폐기물 등을 원료로 만든 친환경 항공유인 SAF를 급유해 시범 운항한다고 밝혔다. SAF는 기존 화석연료 기반의 항공유 대비 최대 80%까지 탄소배출 절감이 가능하다.

정부는 5일 오후 5시 45분 인천에서 LA로 가는 대한항공 KE207편(B777 화물기)에 SAF 2%를 혼합한 항공유로 총 6차례(월 2회, 3개월) 시범 운항하고 이 과정에서 얻은 데이터는 내년 상반기까지 SAF의 품질기준 마련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이번 시범 운항은 올해 6월 28일 개최된 민ㆍ관 합동 친환경 바이오연료 활성화 얼라이언스 제3차 전체회의를 통해 결정된 바이오연료 실증계획에 따른 후속조치 일환이다.

국토부, 산업부, 인천국제공항공사, 대한항공, 한국석유관리원, GS 칼텍스 및 한국공항은 수차례 회의를 통해 SAF 시범 운항에 필요한 항공기·운항노선 선정, SAF 급유 및 운항절차 등을 마련했다.

현재 SAF는 전 세계 항공유의 0.2% 생산 수준으로 프랑스는 2022년부터 항공유에 SAF 1% 혼합의무를 시작했으며 EU는 2025년부터 SAF 2% 혼합의무를 시작해 점차 확대 예정이다. 미국, 유럽 등에서는 SAF를 최대 50%까지 혼합할 수 있도록 인증한 상태다.

유경수 국토부 항공안전정책관은 “이번 시범 운항은 우리나라의 SAF 상용화를 위한 첫걸음으로, 신성장 사업을 향한 도약이 될 것”이라며 “탄소감축을 위한 세계적 추세에 맞춰 SAF의 생산 및 사용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적극 뒷받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