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건설기준 관리, AI 기술 도입으로 빠르고 정확해진다"…12월 개발 목표

입력 2023-08-23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가건설기준 중복·상충부 분석 프로그램 활용 예시 (자료제공=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는 국가건설기준 간 중복 또는 상충 여부에 대한 분석을 위해 인공지능 프로그램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고 23일 밝혔다.

그간 국토부는 20개 분야, 약 1140여 개에 달하는 국가건설기준 제·개정을 위해 관련 학회 등 전문가가 참여하는 검토 절차와 중앙건설기술심의위원회 심의를 통해 국가건설기준을 관리·운영해왔다. 그 과정에서 일부 상충하는 부분이 발생해 설계와 공사를 수행하는 실무 관계자들이 어려움과 불편을 겪었다.

이에 국토부는 6월부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가건설기준센터와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용역을 통해 건설 분야에 특화된 인공지능 프로그램 개발에 착수했다. 최근 언어모델을 구축하고, 해당 언어모델이 건설 관련 지식 학습을 시작했다.

해당 프로그램은 12월까지 개발을 목표로 한다. 같은 달 중순 '국가건설기준 디지털화 성과발표회'에서 시연할 예정이며, 내년부터 시범 적용할 계획이다.

개발이 완료되면 특정 문장을 프로그램을 통해 검색할 경우, 약 1140여 개의 국가건설기준 중에서 해당 문장과 중복 또는 상충하는 내용을 가진 모든 설계기준과 표준시방서를 약 1.2초 만에 찾을 수 있게 된다.

김규철 국토부 기술안전정책관은 “향후 설계·시공 실무 관계자와 국민이 손쉽게 국가건설기준을 활용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 등 자동화 기술의 개발과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