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전도체 ‘LK-99’, 검증 실패 잇따라…짙어지는 회의론

입력 2023-08-07 16:3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자석 위에 초전도체가 반쯤 떠 있다. 해당 영상은 26일 김현탁 박사 이름으로 사이언스캐스트에 게재됐다. (출처=사이언스캐스트 영상 캡처)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합성에 성공했다고 밝힌 상온상압 초전도체 ‘LK-99’의 검증이 국내외에서 진행되고 있지만, 실패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6일 대만 타이완뉴스에 따르면 왕리민 대만국립대(NTU) 물리학과 교수는 이달 1~5일 사이 LK-99 시편(샘플)을 만들어 공개적인 초전도성 재현 실험을 했지만, 실패했다고 전했다.

왕 교수는 “실험실에서 만들어 낸 물질은 약간의 반자성을 띠었지만, 전기 저항이 ‘0’이 되는 현상은 관측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다만 왕 교수 연구팀은 LK-99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고 있다. 온도·압력 등 조건을 변경해 추가 실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앞서 중국 베이항대 연구진도 LK-99가 상온에서 전기 저항이 ‘0’이 아니었고, 자기부상 현상도 관측되지 않았다고 밝힌 바 있다. 난징 둥난대는 비교적 고온인 영하 163도에서 전기 저항이 ‘0’인 현장을 확인했지만, 마이스너 효과를 확인하진 못했다. 인도 국립물리연구소도 LK-99가 상온상압 초전도체가 아니라는 실험 결과를 내놨다.

이는 국내 연구진이 지난달 22일 논문 사전 공개 사이트 ‘아카이브’에 공개한 LK-99 관련 논문 주장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이다. 이석배 퀀텀에너지연구소 대표를 비롯한 해당 벤처 소속 연구자들은 상온(섭씨 127도)과 상압에서 초전도성을 보이는 물질 ‘LK-99’를 개발했다고 주장해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직접 재현 실험에 뛰어든 세계 각지 연구팀이 검증 결과를 발표하면서 회의론도 확산하고 있다. 국제 학술지 네이처도 4일 LK-99에 대한 다수 연구팀의 실패 사례를 전하며 회의적인 전망을 내놨다.

미국 학계에서는 LK-99를 두고 매년 학계에서 제기되는 ‘연례행사’ 수준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인나 비식 미국 캘리포니아대 응집물질학자는 네이처에 “매년 한두 차례 정체불명의 초전도 물체라고 불리는 것들이 아카이브에 나타나곤 한다”며 “역사적으로도 초전도체의 발전이 기초과학에는 많은 이점을 줬지만, 실생활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상온 초전도체의 실용성도 보장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