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금리차 역대 최대… 고심하는 한은

입력 2023-07-27 14:3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과거처럼 한미금리차 확대가 자본유출로 이어지지 않아
연준 한 차례 더 인상하면 부담 커질 듯
추경호 부총리 "금융·외환시장 안정적 관리에 만전 기할 것"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미국과 우리나라의 기준금리 격차가 역대 최대인 2%p로 벌어졌다. 원ㆍ달러 환율 변동 및 외국인 자금 유출 압력 요인이 커지면서 한국은행도 고심이 커지고 있다.

26일(현지시간) 미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 0.25%포인트(p) 인상을 결정하면서 미국 기준금리는 5.25~5.50%가 됐다. 한은이 이번 달 기준금리를 3.5%로 동결한 만큼 한미 금리차는 최대 2%p로 벌어지게 됐다.

다음 달 24일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를 앞둔 한은도 고민이 깊어졌다. 한은 금통위는 13일 열린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4회 연속 동결했다. 한미 금리차가 최대로 벌어지면서, 금리 격차 축소를 위해 다음달 다시 금리 인상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다만 이창용 한은 총재가 "한미 금리차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라고 수차례 강조한 만큼, 금리차 자체보다는 이로 인한 외환·금융시장 내 상황 변동이 기준금리 결정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기존에는 대내외 금리차가 벌어지면 국내 자본이 외국으로 유출되고 원화가 약세 경향을 보인다는 게 공식처럼 여겨졌다. 다만 최근 흐름은 그렇지 않았다는 게 한은의 입장이다. 실제 한·미 금리 차가 1.75%p로 벌어진 5월 이후에도 원·달러 환율은 안정적으로 유지돼 왔다.

이날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역시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한미 간 금리차가 확대돼 불확실성이 다소 높아질 수 있다는 일각의 우려가 있으나 자본유출입과 환율 변동의 경우 내외 금리차뿐만 아니라 국내 경제·금융 상황, 글로벌 경제·금융 여건 등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미 금리차 확대 전망에도 불구하고 외국인 투자자금은 올해 22조 원 이상 순유입이 지속되고 있다"며 "환율도 주요국 통화가치 흐름 등을 반영해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외화자금시장 역시 양호한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문제는 연준이 9월 추가 인상에 나설 경우다. 한미 금리차가 2.25%p에 이르러 절대적인 격차가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금통위원들이 기준금리를 3.75%로 인상할 여지를 열어 놓겠다고 밝힌 이유 중 하나가 미국의 추가 인상 가능성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이창용 총재는 지난 14일 제주포럼 강연에서 "미국이 금리를 두 번 올릴 수 있어, 우리가 금리를 내리면 사실상 격차가 훨씬 커져 외환 시장에 대한 걱정이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승헌 한은 부총재는 이날 열린 시장상황 점검회의에서 "시장에서는 최근 물가 오름세 둔화 등으로 긴축 기조가 마무리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나 연준은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 발언 등을 통해 물가안정의 중요성을 계속 강조하며 추가 인상 가능성을 열어두고 긴축 기조가 상당기간 이어질 것을 시사했다"고 말했다.

추경호 부총리는 "앞으로도 정부는 대외 건전성 강화에 노력하는 동시에, 경상수지 개선 등 경제 기초체력을 탄탄히 해 우리 금융·외환시장이 안정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