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서울 인구 감소 지자체 1위…높은 집값 영향

입력 2023-07-17 09:5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서울보다 집값 합리적인 경기ㆍ인천으로 인구 이동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 전망대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고이란 기자 photoeran@ (이투데이DB)

지난 10년간 서울 인구가 77만 명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 대구 등 쇠락 위기를 겪는 지자체보다 인구 감소 속도가 더 빠른 것으로, 높은 집값이 서울 인구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17일 통계청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서울에 거주하는 인구는 942만8372명(서울 주민등록 기준)이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 인구(5143만9038명) 중 18.3%에 달하는 수치다.

서울이 가진 경제적 집중도를 고려하면 전국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것은 당연하다고 볼 수밖에 없다. 그러나 서울에 주민등록을 한 인구는 점차 줄어들고 있다

10년 전인 2012년 1019만5318명에 달하던 서울의 인구는 2016년 992만8372명으로 처음으로 1000만 명 아래로 내려간 이후 하향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서울 주민등록 인구과 2012년과 비교하면 76만6946명이 감소했다. 같은 기간 17개 지자체의 인구 증감률을 비교해보면 서울은 -7.5%로 감소 부문 1위다.

지역 쇠락 영향권에 있는 부산(-6.2%), 대구(-5.7%), 전라북도(-5.5%), 대전(-5.1%) 등 지자체보다 감소 속도가 빠른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서울과 가까운 수도권 지역인 경기와 인천 인구 증가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경기도의 주민등록 인구는 2012년 1209만3299명에서 2022년 1358만9432명으로 149만6133명(12.4%) 늘었다. 인천의 인구 역시 284만3981명에서 296만7314명으로 12만3333명(4.3%) 증가했다.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인구는 2513만2598명에서 2598만5118명으로 85만2520명(3.4%) 증가했다.

수도권으로 인구 집중화 현상은 지속되고 있는데 서울이 아닌 경기와 인천에 인구 집중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현상은 결국 집값으로 보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최근 수년간에 걸친 집값 상승 과정에서 서울 거주 인구 상당수가 집값이 보다 합리적인 경기나 인천 지역으로 이동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통계청이 최근 내놓은 주택 소유 현황 분석(경제활동·아동가구 중심) 자료를 보면 가구주가 임금근로자인 가구의 주택 소유율 측면에서 서울은 47.9%로 17개 지자체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울산이 66.9%, 경남이 63.8% 등을 기록한 가운데 서울은 임금근로자 가구의 주택 소유율이 50%를 밑도는 유일한 지자체였다.

서울에선 급여생활자가 내 집 마련을 하기가 그만큼 어렵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