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또복권 조작 불가능…1‧2등 다수 당첨 충분히 가능"

입력 2023-07-13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ㆍ서울대 통계연구소 연구용역 결과 발표

▲서울 노원구의 한 유명 복권판매점에서 시민들이 복권을 사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모습.(사진제공=연합뉴스)

최근 로또복권 1‧2등 다수 당첨으로 제기된 조작의혹과 관련해 조작은 불가능하고, 다수 당첨 사례가 확률적으로 충분히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와 서울대 통계연구소의 조사 결과가 나왔다.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는 13일 이들 기관에 검증을 의뢰한 로또복권 조작의혹 관련 연구용역 결과 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TTA는 소프트웨어 진흥법 제20조에서 지정한 소프트웨어 품질 등을 인증하는 기관이다.

올해 3월 4일 추첨한 로또 1057회차에서는 2등 당첨이 무더기(664건)로 쏟아진 바 있다. 이 중 103건이 모두 서울 동대문구의 한 판매점에서 나온 것으로 밝혀지면서 조작 논란이 일었다.

앞서 작년 6월 11일 추첨한 로또 1019회차에선 1등 당첨이 50건 발생했었다. 이에 복권위는 관련 조작의혹을 해소하기 위해 TTA에 복권시스템 및 추첨과정 검증을, 서울대 통계연구소에 확률‧통계적 검증을 의뢰했다.

TTA는 이번 검증을 통해 "현재 복권시스템 및 추첨과정에는 내‧외부에서 시도할 수 있는 위・변조 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가 마련돼 있어 조작이 불가능하고, 로또복권의 신뢰성을 저해할 만한 위험 요소가 없다는 점도 확인했다"고 밝혔다.

특히 내부 관계자가 복권시스템을 조작해 낙첨 티켓을 당첨 티켓으로 변경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선 "서버 접근 제어, 네트워크 접근 제어, 데이터베이스(DB) 접근 제어 등을 통해 인가된 사용자 외에 접근하지 못하며 접근 이력 및 작업 사항은 모두 기록돼 조작이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부정한 방법으로 접근해 낙첨 티켓을 당첨 티켓으로 변경한다 하더라도 'CBC-MAC(블록체인 형태로 메시지 인증 코드를 구성하는 기술)' 확인 단계에서 변조된 티켓은 원본과 불일치해 지급을 거절 받게 된다"고 덧붙였다.

서울대 통계연구소는 로또복권 추첨 시 공이 무작위로 동등하게 당첨되는지 여부 및 최근 다수 당첨이 확률‧통계적으로 발생 가능성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추첨의 동등성이 위배된다고 볼 수 없으며, 최근 다수 당첨이 확률적으로 충분히 발생 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한다고 연구소는 설명했다.

조작 의혹이 제기된 다수 당첨 번호 조합이 나올 확률을 계산한 결과 이상치 발생 확률이 1등 사례의 경우 23.87%~31.00%, 2등 사례는 2.53%~5.18%에 달하다는 것이다.

해외 사례로는 2016년 영국에서 4082명이, 2022년 필리핀에서 433명이 1등에 당첨된 점을 제시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