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Sㆍ오징어게임 등 한류 열풍 경제효과 37조 유발…한류 콘텐츠 투자 확대해야"

입력 2023-07-10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경연, '한류 확산의 경제적 효과 추정' 결과 발표
최근 5년간 생산유발 37조ㆍ부가가치 13.2조 원

▲지난달 16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한강공원에서 열린 방탄소년단(BTS) 10주년 페스타(PESTA) 행사장. 조현호 기자 hyunho@

최근 화장품·음악·방송 등 한류 밀접품목의 수출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른 한류의 경제적 효과가 생산유발액 기준 총 37조 원에 달한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한류 확산의 경제적 효과 추정’을 통해 10일 이같이 밝혔다.

BTS(방탄소년단)는 2018년부터 비영어권 가수 최초로 5년 연속 글로벌 아티스트 차트 상위 10위에 진입했다. 2021년 방영된 오징어게임은 94개국에서 시청률 1위를 기록하며 글로벌 한류의 열풍을 일으켰다.

미국 U.S News·와튼스쿨의 ‘글로벌 문화적 영향력 랭킹’에 따르면, 한국 문화가 국제적으로 미치는 파급력은 2017년 세계 31위(80개국 중)에서 2022년 7위(85개국 중)로 5년간 24단계 급등했다.

한국 문화가 전 세계로 확산하면서 음악·방송 등의 문화콘텐츠 수출이 확대되고 있다. 국가브랜드 제고로 화장품(K-뷰티)·가공식품(K-푸드) 등 한류와 밀접한 소비재 수출도 큰 폭으로 상승했다.

지난 5년간(2017~2021년) 이들 한류 품목의 연평균 수출증가율은 13.7%로 같은 기간 국내 전체 수출액의 연평균 증가율 5.4% 대비 약 2.5배 수준이다. 한류 품목의 부문별 수출증가율은 △문화콘텐츠 15.7%(음악 11.9%, 방송 11.8% 등) △화장품 16.6% △가공식품 7.8% 등이다.

한경연이 통계모형과 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해 한류의 경제적 효과를 추산한 결과, 한류 확산이 최근 5년 동안 소비재·문화콘텐츠 수출 신장을 통해 유발한 국내 생산액은 총 37조 원에 달했다. 이 중 30.5조 원은 소비재 수출 증진, 6.5조 원은 문화콘텐츠 수출 증진을 통해 발생했다.

같은 기간 한류가 창출한 부가가치액은 총 13.2조 원으로, 소비재 수출 증가로 9.9조 원, 문화콘텐츠 수출 증가로 3.3조 원이 각각 유발됐다.

한류는 일자리 창출에도 크게 기여했다. 한류 확산에 따른 총 취업유발인원은 16만 명으로, 이 중 11.6만 명은 소비재 수출 증가로, 4.4만 명은 문화콘텐츠 수출 증가로 유발됐다. 전체 취업유발인원 16만 명은 2022년 국내 총취업자 수 증가 폭(81.6만 명, 통계청)의 5분의 1(19.6%)에 해당하는 수치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한류는 문화콘텐츠 수출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의 한국 제품 선호도를 높임으로써 소비재 수출에도 기여하는 등 그 경제적 가치가 상당하다”며 “문화콘텐츠 산업에 대한 금융지원 확대와 인프라 확충 등을 통해 기업의 적극적인 한류 콘텐츠 투자 확대를 유도해, 한국 문화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