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연 10%' 청년희망적금 4명중 1명 중도해지...68만명 이탈

입력 2023-06-21 08:16수정 2023-06-21 11:4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10만원 미만' 납입자의 중도 해지율이 49.2% 가장 높아

연 최고 10%대 금리 효과를 내는 정책 상품인 '청년희망적금' 중도 해지자가 70만 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21일 금융감독원이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에 제출한 '청년희망적금 운영 현황'에 따르면 해당 상품이 출시된 지난해 2월 당시 최초 가입자는 289만5546명에 달했으나 5월 말 기준 중도 해지자 수는 68만4878명으로 집계됐다. 중도 해지율은 23.7%로 나타났다. 가입자 4명 중 1명꼴로 적금을 깬 것이다.

납입 금액대별 해지 현황을 살펴보면 '10만 원 미만' 납입자의 중도 해지율이 49.2%로 가장 높았다.

△10만 원 이상~20만 원 미만 48.1% △20만 원 이상~30만 원 미만 43.9% △30만 원 이상~40만 원 미만 40.3% 등이 뒤를 이었다.

납입 한도인 50만 원을 꽉 채워 납입한 청년들의 경우 중도 해지율이 14.8%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나이가 많을수록 중도 해지율이 낮은 편이었다. 가입 상한 연령인 만 34세의 중도해지율은 21.2%인데 반해 가입 하한 연령인 만 19세의 해지율은 27.9%에 달했다.

청년희망적금은 총급여 3600만원 이하 만 19~34세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고자 문재인 정부에서 출시한 정책 금융 상품이다. 만기 2년 동안 매달 50만 원 한도로 납입할 경우 정부 지원금(저축 장려금)까지 합쳐 연 10% 안팎의 금리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설계됐다.

높은 금리 수준에 출시 후 높은 인기를 끌었다. 당시 정부는 가입자 규모를 38만 명으로 예측했으나 300만 명에 가까운 가입자가 몰렸다.

하지만, 고물가·고금리에 저축 여력이 줄고 지출 변수가 많은 20·30 세대의 급전 수요가 맞물리며 중도 해지자가 급증한 것으로 보인다.

최대 36만 원의 정부 지원금이 만기 시 한꺼번에 지급되는 구조라 매달 쌓이는 이자 효과를 체감하기 어려운 측면도 중도 해지율을 높였다는 시각도 있다.

정부가 최근 출시한 '청년도약계좌'의 중도 해지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청년도약계좌는 윤석열 대통령의 주요 대선 공약 중 하나다. 5년간 매달 70만 원 한도로 적금하면 지원금(월 최대 2만4000원) 등을 더해 5000만 원가량의 목돈을 만들 수 있다.

금융당국은 청년도약계좌 적금 유지율 목표치를 70%대 중반으로 잡고 있다. 청년적금처럼 중도해지 비율이 높아지지 않도록 추가적인 적금 유지 방안을 위한 연구용역에 착수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