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반응 미온적...“예상됐던 조치”
0.15%p 인하 기대 못 미쳐
![](https://img.etoday.co.kr/pto_db/2023/06/600/20230620111803_1897001_1200_800.jpg)
CNBC 등에 따르면 인민은행은 1년 만기 LPR를 연 3.65%에서 3.55%로 0.1%포인트(p) 인하하기로 했다. 주택담보대출(모기지) 금리의 기준점이 되는 5년 만기 LPR는 4.3%에서 4.2%로 이 역시 0.1%p 내리기로 했다.
인민은행이 LPR를 내린 것은 지난해 8월 이후 10개월 만에 처음으로, 시장의 전망과 부합하는 결정이다.
LPR는 중국 내 주요 18개 시중은행이 보고한 최우량 고객 대출 금리의 평균치로, 인민은행이 매달 공표하는 사실상의 기준금리로 통한다. 인민은행은 LPR를 낮추거나 높여 고시하는 방식으로 시중금리를 조절해왔다.
인민은행은 지난주 1년 만기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를 0.1%p 인하하는 등 최근 잇따라 정책금리를 내렸다. ‘제로 코로나’ 정책 폐지 이후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성과가 예상과 달리 부진하면서 경제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자 경기 부양에 박차를 가하려는 조치로 풀이된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23/06/600/20230620111804_1897002_652_378.jpg)
경기둔화에 대한 중국 정부의 대응이 느리다는 불만도 나오고 있다. 당초 시장에서는 16일 국무원 회의 후 새로운 대규모 부양책이 나올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왔지만, 국무원은 지금까지 별다른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 여기에 블룸버그통신은 리창 총리가 이번 주 독일과 프랑스로 첫 해외 공식 순방길에 오른 것은 아직 경기부양책 발표가 임박하지 않았음을 시사하는 것일 수 있다고 진단했다.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전날 중국 당국의 경기 부양책이 제한적일 것이란 이유로 올해 중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6%에서 5.4%로 하향 조정했다. 골드만삭스는 “인구 감소, 부채 증가, 부동산 투기 억제에 대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지시 등을 감안할 때 중국의 부동산과 인프라 부양책은 목표 수준이고 온건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인옌린 전 중국 공산당 중앙재경위원회 판공실 부주임은 “정부가 필요한 곳에 더 강력한 정책을 추가하는 것을 주저하지 말아야 한다”며 “정책 조정은 튜브에서 치약을 짜내는 것처럼 하지 말고 더 빨리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