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 전기차 시장서 한국 점유율 5분의 1토막…中 1위로 올라서

입력 2023-05-30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아세안 전기차 시장 3년간 2배 이상 성장
한국산 전기차 비중은 43.2%→8.2%
급격히 성장한 중국에 1위 자리 내줘
"합리적 가격대로 아세안 시장 공략 필요"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최근 3년간 급격한 성장세를 보인 아세안(ASEAN) 수입 전기차 시장에서 한국 전기차의 점유율은 5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국은 폭발적으로 점유율을 높여가며 한국을 제치고 아세안 수입 전기차 시장에서 1위에 올라섰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유엔의 세관통계 데이터베이스 유엔 컴트레이드(UN Comtrade) 데이터를 기준으로 최근 3년간(2019~2021년) 아세안 수입 전기차 시장에서의 주요국 점유율 추이를 분석한 결과 한국산 전기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43.2%(1위)에서 2021년 8.2%(3위)로 크게 줄었다고 30일 밝혔다.

같은 기간 아세안 수입 전기차 시장은 2019년 1억3000만 달러(약 1715억 원)에서 2021년 3억 달러(약 3957억 원)로 2배 이상 성장했다. 아세안 지역 전기차 시장의 급격한 성장세에도 한국의 수입액은 약 5600만 달러(약 739억 원)에서 2400만 달러(약 316억 원)로 절반 넘게 감소했다.

한국의 점유율이 감소한 자리는 중국이 메운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의 아세안 수입 전기차 시장에서의 점유율은 2019년 25.7%에서 2021년 46.4%로 급등하며 1위로 올라섰다. 또 다른 전기차 경쟁국인 독일 역시 같은 기간 1.3%에서 34.1%(2위)로 성장했다. 반면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집중하고 있는 일본은 13.8%에서 1.6%로 점유율이 크게 줄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아세안 국가들의 전기차 보급 의지는 점차 강해지고 있지만 국민의 구매력은 이에 못 미치다 보니 중국산 전기차의 가격 경쟁력이 유효하게 작용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제공=대한상공회의소)

아세안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싱가포르, 베트남,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 10개국의 연합체다. 아세안은 지역의 친환경차 판매량은 전 세계 판매량의 0.4%로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그러나 각국 정부의 전동화 전환 노력에 따라 아세안 지역의 친환경차 시장은 급속히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는 지난달 발표한 ‘아세안 순수전기차 시장 전망 및 진출 전략’ 보고서를 통해 아세안 지역의 친환경차 판매량이 2030년까지 117만대로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아세안 지역의 전체 자동차 판매량에서 친환경차 판매량은 5만2000대로 전년 대비 872.4% 늘었다. 순수 전기차 판매는 전년보다 863.1% 증가한 2만2000대로 집계됐다.

유엔 컴트레이드 데이터를 아세안 국가별로 살펴보면 10개국 중 전기차 수입액이 천만 달러가 넘는 국가는 태국(1억3000만 달러), 싱가포르(8000만 달러), 말레이시아(4000만 달러), 인도네시아(3000만 달러)로 이들 4개국이 전체 수입액의 95%를 차지했다.

한국은 인도네시아를 제외한 3개국에서 점유율이 하락했다. 태국에서는 2019년 3.2%(3위)에서 2021년 0.03%(9위), 싱가포르에서는 72.7%(1위)에서 7.8%(2위), 말레이시아에서는 2.1%(6위)에서 0.1%(8위)로 떨어졌다. 반면 국내 기업들이 2010년대 후반부터 공을 들여온 인도네시아에서는 점유율이 19.4%(3위)에서 63.2%(1위)로 급증했다.

중국은 태국 시장에서 독일의 선전에 밀려 점유율이 2019년 64.3%에서 2021년 52.4%로 하락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태국 시장이 3배 가까이 성장해 수입액은 오히려 2배 이상 늘었다. 싱가포르에서도 점유율이 4.1%(3위)에서 79.5%(1위)로 급성장하며 한국을 추월했다. 독일은 말레이시아와 태국,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모두에서 점유율을 높였다.

김문태 대한상의 산업정책팀장은 “아세안 전기차 시장 선점을 위해 합리적 가격의 수출용 차량을 개발해야 한다”며 “아세안 각국의 전기차 전환 정책에 따른 우리 기업의 유불리를 분석해 시나리오별로 대응하는 등 정부 차원의 외교적·정책적 노력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