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 2023년 5월 1~20일 수출입 현황 발표…반도체 35.5%·대중 수출 23.4%↓
![](https://img.etoday.co.kr/pto_db/2023/05/600/20230522090739_1886835_600_400.jpg)
한국 경제의 버팀목인 수출이 지난달까지 7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 중인 가운데, 이달 역시 마이너스의 늪을 빠져나오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특히 한국 수출의 주력 품목인 반도체는 35.5%에 달하는 감소세를 보였고 주력 교역국인 중국으로의 수출 역시 -23.4%에 달했다. 무역적자도 계속되며 올해 누적 무역적자는 300억 달러에 육박, 지난해 전체 무역적자의 60%를 훌쩍 넘었다.
관세청이 22일 발표한 5월 1∼20일 수출입 현황에 따르면 수출액(통관 기준 잠정치)은 324억43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1% 감소했다. 다만 이 기간 조업일수는 14.5일로 지난해 15일보다 0.5일 적어 이를 고려하면 일평균 수출액은 22억4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3.2% 줄었다.
한국 수출은 지난해 10월부터 4월까지 7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수출이 월간 기준 7개월 연속 감소한 것은 2018년 12월부터 2020년 1월까지 14개월 연속 감소를 기록한 이후 3년 3개월 만에 처음이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23/05/600/20230522100154_1886897_1199_352.jpg)
품목별로 보면 수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반도체가 1년 전보다 35.5% 줄었다. 반도체는 지난달까지 월간 기준 9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 중이다.
석유제품(-33.0%), 정밀기기(-20.9%), 선박(-58.3%), 가전제품(-36.6%) 등 주요 품목 중 승용차(54.7%)를 제외한 모든 품목이 감소세를 보였다.
국가별로는 최대 교역국인 중국에 대한 수출이 23.4% 감소했다. 대중 수출의 감소세는 지난달까지 11개월째로 1년 연속 마이너스 행진이 확실시된다. 특히 미국(-2.0%), 유럽연합(-1.1%), 베트남(-15.7%), 일본(-13.9%) 등도 감소세를 보이며 주요 수출국 중 수출이 늘어난 국가는 한 나라도 없었다.
같은 기간 수입액은 367억4700만 달러로 15.3% 감소했다.
원유(-21.2%), 석탄(-41.1%), 가스(-14.3%) 등 3대 에너지 수입원이 모두 줄고 반도체 역시 15.4%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EU(5.4%), 말레이시아(34.5%) 등으로부터 수입이 늘고 중국(-15.7%), 미국(-17.7%), 사우디아라비아(-34.8%) 등은 줄었다.
이달 1∼20일 무역수지는 43억4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달 같은 기간(41억9300만달러 적자)보다는 적자 규모가 늘었다.
무역수지는 지난해 3월부터 지난달까지 14개월 연속 적자가 지속되고 있다. 14개월 이상 무역적자가 이어진 것은 1995년 1월∼1997년 5월까지 29개월 연속으로 무역적자가 난 이후 처음이다.
올해 들어 이달 20일까지 누적된 무역적자는 295억48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연간 기준 역대 최대였던 지난해 무역적자(478억달러)의 62%에 달하는 액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