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 판매점 관리, 이통사 책임론 ‘솔솔’

입력 2009-05-04 13:35수정 2009-05-04 14: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무분별한 승인 남발, 개·폐업 관리 어려워

이동통신사 가입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유통망 확보에도 과열현상이 지속되는 가운데 판매점에 대한 관리 강화가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일부에서는 그 동안 경쟁적으로 판매점 승인을 내준 이동통신사들이 최근 부실한 관리 감독을 방치했다는 목소리가 높다.

회사의 지출을 최대한 줄이고 유통시장에서 가입자만 유치하면 된다는 안이한 생각이 판매망을 확대 시켰고, 이는 개인정보 유출이나 바가지 상술, 불법복제 폰 등으로 각인되기에 이른 것이다.

이동통신사의 유통구조를 보면 직영점과 대리점, 판매점으로 구분돼 있다. 직영점은 각 이동통신사 소속 직원들이 직접 매장을 운영하면서 모든 판매ㆍ개통 수익이 회사 매출로 이어진다.

이 때문에 비용 역시 각 통신사가 부담해야 하며 주로 임대료가 비싼 도심 지역이나 매출이 높은 전략지에 투입된다.

그러나 매출액 대비 인력이나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이 높은 만큼 직영점의 도입은 쉽지 않다. 실제로 전국 300개의 직영점을 운영 중인 LG텔레콤은 운영상 효율화를 위해 당분간 신규 개설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자회사를 설립하며 직영화에 주력하는 SK텔레콤도 주요 지역에 신규 확대를 추진하고 있지만, 대리점과 판매점의 비율을 적절히 조절하며 시장 추이를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대리점 역시 개통 등 업무위탁이 가능한 유통시스템으로 직영점과 판매점의 중간 형태이다. 단말기 개통 등 주요 업무가 하나의 이동통신사로 규정돼 있고 정보통신망법에도 제약을 받아 제도권 구입이 가능하다.

문제는 개인사업자로 분류 돼 있는 판매점이 관건이다. 3월 말 현재 이동통신 유통망 구조 현황을 보면 SKT, KTF, LGT 등 이통 3사가 보유한 대리점과 판매점은 모두 3만1924개로 이 가운데 판매점은 2만8500여 개가 운영 중이다.

이는 판매점이 전체 유통망 구조의 82.2%에 달하는 수치로, 이동통신사의 무분별한 유통망 확대가 관리 감독의 부재를 불러왔다는 방증인 셈이다.

더구나 이 수치 마저도 역시 워낙 개ㆍ폐업이 많다보니 하루에도 판매점 통계 수치가 늘쑥날쑥하다. 이 같은 현상으로 인해 개인정보 유출이나 바가지 상술에도 이통사는 ‘모르쇠’로 일관하기 일쑤다.

특히 일부 판매점은 사업자등록증도 없이 영업을 하는 등 관리 사각지대로 떠오르면서 각종 불ㆍ탈법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판매점은 대리점과 달리 모든 기종과 통신사 제품을 판매할 수 있다. 개인사업자 신분이다 보니 소비자에게 마진을 얻기 위해 필요 없는 부가서비스 가입이나 높은 기본료를 책정해 마치 공짜폰인 것처럼 현혹하는 수법도 최근 들어 발생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대리점 관계자는 “가입자들이 용산이나 테크노마트 등에서 구입하는 것이 훨씬 저렴하다고 생각하지만, 이들은 판매점으로 마진을 남길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대리점이나 직영점을 이용하면 개인정보보호는 물론 단말기 정책 등에서도 보호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통신사 자체에서 판매점에 대한 관리 감독이 어렵다는 것을 알면서도 방치한 것이 큰 실수”라며 “현재 80% 이상을 잠식한 판매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만한 대안이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