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통상 갈등 최대 수혜국은 대만…美 반도체 수입시장서 점유율 1위

입력 2023-05-09 08:5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공급망 재편에 대만·베트남 수혜

▲미국 반도체 수입시장 점유율 및 한·대만 점유율 격차. (사진제공=전국경제인연합회)

2018년 미·중 통상 갈등 이후 대만이 미국의 반도체 수입시장에서 가장 큰 수혜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2018년 미·중 통상 갈등 이후 미국 반도체 수입시장의 주요국 점유율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18년∼2022년 중국산 점유율은 18.5%포인트(p) 하락했지만, 대만(+9.7%p), 베트남(+7.3%p)이 점유율을 빠르게 늘리며 반도체 생산기지로서 입지를 강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로 중국의 점유율은 2018년 30.2%에서 2022년 11.7%로 대폭 줄었다. 중국은 2000년대 들어 점유율 1위를 줄곧 유지했지만 2018년 이후 하락하기 시작해 지난해 4위로 떨어졌다.

대만의 점유율은 2018년 9.5%에서 지난해 19.2%로 2배로 늘어나며 4위에서 1위로 등극했다. 2017년·2018년 메모리 호황의 수혜를 본 한국의 점유율은 2017년 3위로 올라섰고 중국 입지 약화로 작년에도 3위를 유지했다. 한국과 대만을 비교하면 2018년 한국의 점유율이 대만을 1.3%p 웃돌았지만, 작년에는 대만이 한국을 6.6%p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은 국가안보 및 자국 공급망 강화를 내세우며 2018년부터 대중 수입 관세 부과 및 중국 기업에 대한 수출 제한 등 다양한 규제를 적용했다. 대중 수입에 대해 2018년 3차례에 걸쳐 10~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으며 2019년에도 이 기조를 이어갔다. 같은 기간 미국은 수출통제 명단(Entity List)을 활용해 미국산 기술이나 소프트웨어를 직접 이용해 만들어진 부품·장비 등의 대중 수출 제한을 시행했다. 그 영향으로 제재를 받은 중국 기업들은 반도체 생산 및 반도체 역량 강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대만과 베트남은 미국의 반도체 최대 수입품목(33.4%)인 ‘컴퓨터 등의 부품’에서 중국의 입지 약화를 기회로 점유율을 늘리며 반사이익을 누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컴퓨터 등의 부품’에 대한 미국의 대중 수입액은 2018년에 비해 96억7000만 달러 감소했고, 같은 기간 미국의 대만산 부품 수입액은 75억6000만 달러 증가했다. 베트남 수입액은 35억1000만 달러 증가했고, 한국 수입액도 25억8000만 달러 올랐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2018년 미·중 통상 갈등 이후 미국 반도체 수입시장 재편에 따른 최대 수혜국은 대만과 베트남으로 한국의 점유율은 소폭 상승에 그쳤다”며 “최근 우리 정부가 첨단전략산업 시설투자 세액공제 확대, 투자 인허가 처리 신속화 등 국내 투자환경 개선에 박차를 가하는 만큼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활용해 국내 반도체 생산기반을 강화하고 반도체 수출 품목을 다변화하는 전환점으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