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1.1% 전망… 가계부채 부담 커"

입력 2023-05-03 14:4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뉴욕에 있는 스탠더드푸어스(S&P) 본사 모습. (뉴욕/AP연합뉴스)
글로벌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올해 한국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1.1%로 관측했다. 가계 부채는 한국 경제의 부담 요인으로 지적됐다.

3일 루이 커쉬 S&P 전무는 서울파이낸스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한국 경제는 1.1%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최근 관련 경제 지표들을 보면 이와 일관된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그는 "당국에서 원하는 만큼은 아니지만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어느 정도 통제되는 상황"이라며 "한국은행이 금리 인하를 단기간 내에 할 것으로 보이지는 않고 내년쯤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의 국가부채는 다른 국가들에 비해 적은 편이지만 가계부채 부담은 큰 것으로 진단됐다.

킴엥 탄 S&P 상무는 "코로나19 여파로 각국의 국가부채가 상승했고 아시아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부채 상승률이 높았다"면서도 "다행히 한국은 국가부채가 크게 상승하지 않아 비교적 상승률이 낮은 편"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가계 부채 수준은 한국이 전 세계 3위 수준"이라며 "고금리 상황이 지속하거나 금리가 인상되면 가계 소득 중 더 많은 부분이 이자 지급에 사용돼 내수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나아가 "이런 상황에서 한국에 대외 충격이 발생하면 가계 부채 문제와 맞물려 경기가 둔화하거나 악화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한국의 금리 수준이 다른 국가 대비 여전히 낮아 이자 부담을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이라는 점에서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 전망은 '안정적'(국가 신용등급 AA)으로 유지됐다.

부동산 경기 악화에 따른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위험은 저축은행과 증권사, 여전사 등에 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정홍택 S&P 상무는 "지난해 은행은 부동산 PF 익스포져(위험노출액) 규모를 2008년 대비 많이 축소했지만, 저축은행과 여전사, 증권사는 늘렸다"며 "은행과 보험은 아파트 등 비교적 안정적인 PF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있지만, 저축은행과 여전사, 증권사는 위험한 상업용 PF에 노출돼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 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반도체 업황은 한동안 부진을 이어가다 올해 하반기부터 반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