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펀드 붐’ 꺼진다…4년 만에 86% 급감

입력 2023-04-17 16:2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디디추싱 조사·IPO 급감에 인기 시들
정부계 펀드가 빈자리 채워
스타트업 투자 비율 역대 최고

▲벤처캐피털(VC) 등 중국 민간펀드 투자 건수(단위 만건)와 투자 금액(단위 조 위안) 추이. 출처 니혼게이자이신문
중국에서 민간펀드 열풍이 식어가고 있다고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17일 보도했다. 중국 금융정보사이트 윈드에 따르면 지난해 벤처캐피털(VC) 등 중국 펀드들의 투자액은 총 3090억 위안(약 59조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8년의 2조1781억 위안에서 86%나 급감한 것이다.

중국 최대 차량 공유업체 디디추싱이 2021년 미국 뉴욕증시에 상장한 직후 당국의 강도 높은 조사를 받게 되면서 환경이 급변했다. 당국의 만류에도 뉴욕행을 강행했던 디디추싱은 집중 견제를 받았다. 조사 기간 신규 회원 가입이 중단됐고, 결국 상장 1년 만인 작년 6월 뉴욕증시에서 자진 상장폐지했다.

이를 계기로 유력한 투자 회수처였던 미국 상장이 어렵게 됐다는 인식이 퍼졌다. 주식 매각 이익을 얻기가 쉽지 않아진 셈이다. 여기에 각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세계적인 기업공개(IPO) 급감 또한 중국 펀드 붐이 꺼지는 데 한몫했다.

다만 펀드 붐이 꺼졌다고 해서 스타트업들이 모두 자금난을 겪고 있는 것은 아니다. 민간펀드의 빈자리를 중국 정부계 펀드가 채우고 있다. 중국 시장조사 업체 IT쥐쯔에 따르면 중국 스타트업 투자 안건에 정부계 펀드가 참여한 비율은 지난해 15%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시진핑 중국 지도부는 정부계 투자금과 부패 단속을 통해 과학기술 분야에서의 통제를 강화하고 있다. 공산당 중앙기율검사위원회와 국가감찰위원회는 지난달 중국 ‘반도체 굴기’의 상징인 칭화유니의 창업자 자오웨이궈 전 회장을 부패와 배임 혐의로 검찰에 넘겼다. 그러나 당국은 구체적인 부패·배임 혐의 내용과 굵직한 경제 범죄에 대한 구체적 내용을 적시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반도체 굴기’ 실패에 대한 책임을 자오 전 회장에게 묻거나 군기 잡기 차원에서 조사 대상이 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중국 지도부의 정책은 국가의 윤택한 자금이 유력 기업을 육성하는 것으로 이어질 수도 있지만, 반대로 과도한 관여로 인해 기술 혁신을 저해할 수도 있다고 닛케이는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