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재정수지 117조 적자, 국가채무 1067.7조
지난해 우리나라의 부채가 2326조2000억 원으로 1년새 130조9000억 원(6.0%)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월 기준 총인구수 5142만1479명으로 나누면 1인당 4524만 원의 빚을 지고 있는 셈이다.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뺴고 사회보장성기금까지 뺀 관리재정수지는 117조 원으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5.4%에 달했다. 정부는 관리재정수지를 -3% 이내로 제한하는 재정준칙 법제화를 추진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4일 국무회의에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2회계연도 국가결산보고서'를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총세입은 47조2000억 원이 증가한 617조8000억 원, 총지출은 81조3000억 원이 증가한 682조4000억 원으로 통합재정수지는 64조6000억 원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GDP로는 3.0% 수준이다.
통합재정수지에서 52조5000억 원인 사회보장성기금수지(국민연금, 사학연금, 산재보험, 고용보험)를 제외한 관리재정수지는 117조 원 적자로 GDP 대비 -5.4%를 기록했다. -5.4%는 정부가 추진 중인 재정준칙(-3% 이내)에 크게 미달한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채무를 합산한 국가채무는 97조 원이 증가한 1067조7000억 원을 기록했으며 이는 GDP 대비 49.6% 수준이다. 국가채무는 2018년(35.9%) 이후 4년 연속 증가 추세다.
국가의 재정상태를 보여주는 국가 재무제표에서 국가부채는 2326조2000억 원을 기록했다. 국가부채는 1년새 130조9000억 원이 증가했다. 이중 국·공채, 차입금 등 상환일정이 정해져 지급시기·금액이 확정된 확정부채는 907조4000억 원으로 89조2000억 원이 증가했고 비확정부채는 1418조8000억 원으로 41조7000억 원이 늘었다.
기재부는 코로나 위기극복, 민생안정 재원 마련을 위한 국채 발행잔액이 84조9000억 원 증가하고 연금충당부채가 43조2000억 원 늘어난 데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2326조2000억 원을 올해 2월 기준 총인구수(5142만1479명)로 나누면 국민 1인당 4524만 원의 빚을 갚아야 한다.
다만 기재부는 국가부채는 지급시기와 금액이 확정되지 않은 비확정부채까지 포함한 개념으로 국가채무(=나라빚)와 다르다고 밝혔다. 비확정부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연금충당부채는 지급액만을 추정한 금액으로 실제 지출은 연금보험료 수입으로 우선 충당하고 있어 국가가 갚아야 할 빚이 아니라는 설명이다.
지난해 총세입 573조9000억 원에서 총세출 559조7000억 원과 이월액 5조1000억 원을 차감한 세계잉여금은 9조1000억 원으로 이중 일반회계 6조 원은 국가재정법에 따라 지방교부세 정산과 공적자금 상환, 채무상환, 세입이입 등에 처리된다. 특별회계 3조1000억 원은 특별회계 자체세입 등으로 처리한다. 세입·세출 결산은 내부거래 및 보전지출을 포함한 총계 기준으로 정확한 재정규모를 파악하는 용도로 쓰인다.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국가결산보고서는 감사원 결산검사를 거쳐 5월 말에 국회에 제출될 예정이다.
정부는 재정건전성에 대한 보다 엄중한 인식하에 정부부터 허리띠를 바짝 졸라매고 재정준칙 법제화 등을 통해 건전재정 기조를 정착시키겠다고 밝혔다.
앞서 2023년 예산안 편성시 건전재정 기조로 전면 전환했고 2024년 예산안 편성 과정에서도 2022회계연도 결산내용을 반영해 무분별한 현금지원 사업 등 도덕적 해이와 재정 누수를 철저히 차단할 계획이다.
아울러 재정 성과관리를 강화하고 민간투자를 활성화하며 국유재산을 적극 활용하는 등 예산 외 가용한 정책 수단을 총동원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