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털털이맵시벌' 등 자생생물 1802종 추가…국가생물종 5만8050종

입력 2023-03-07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국털털이맵시벌 (사진제공=환경부)

지난해 1800여 종의 자생생물이 새롭게 추가돼 국가생물종이 5만8000여 종을 넘어섰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국가 생물자원 종합 목록 구축사업’을 통해 지난해 말 기준 1802종이 새로 추가돼 우리나라에서 확인된 자생생물 종 수가 5만8050종에 이른다고 7일 밝혔다.

구체적으로 척추동물 2074종과 △무척추동물 3만 867종 △식물 5683종 △균류 및 지의류 6116종 △조류(藻類) 6493종 △원생동물 2508종 △원핵생물 4309종 등이다.

이번에 새로 추가된 자생생물은 신종 565종과 미기록종 1237종이다.

이중 우리나라 지명이 학명에 포함된 종은 총 79종으로 소백산에서 채집된 신종 ‘소백털털이맵시벌(Lissonota sobaekensis)과 우리나라 국명을 넣은 신종 ‘한국털털이맵시벌(Lissonota koreana)’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독도 동도에서 발견된 원핵생물 신종 ‘슈와넬라 독도넨시스(Shewanella dokdonensis)’와 동해 연안에서 발굴된 홍조류 신종 ‘필마토리톱시스 동해엔시스(Phymatolithopsis donghaensis)’도 독도와 동해 지명이 학명으로 쓰였다는 점이 눈에 띈다.

이 밖에도 기후변화 등으로 해류를 따라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것이 최종 확인된 열대성 생물종이 국가생물종목록에 추가됐다.

‘두점긴주둥이놀래기(Oxycheilinus bimaculatus)’는 몸 색이 화려하고 마름모꼴 꼬리지느러미가 특징인 어류로 인도-태평양 해역에 분포하는 생물이지만, 2015년에 제주도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여름과 가을에 매년 관찰돼 이번에 국가생물종목록에 등재됐다.

국가생물종목록의 자세한 정보는 국립생물자원관 누리집 ‘국가생물다양성 정보 공유체계(kbr.go.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에서도 내려받을 수 있다.

김창무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종다양성연구과장은 "현재 한반도에는 약 10만 종의 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현재까지 60%인 5만8000여 종만이 그 실체가 확인됐다"라며 "지속적인 조사 연구를 통해 기후변화에 따른 종 다양성의 변화와 우리나라 자생종에 대한 자료 조사 결과를 반영한 국가생물종목록의 확대에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