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근로시간 인식 조사’ 결과 발표
20~30대 직장인의 절반 이상이 현행 근로시간제도가 시대에 맞지 않는다고 생각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20~30대 임금 근로자 702명을 대상으로 ‘근로시간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57%는 현행 근로시간제도가 4차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하지 않다’고 답했다고 5일 밝혔다.
응답자 10명 중 6명(60.1%)은 연장근로 제도를 유연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했다. 구체적으로 ‘노사 합의에 따라 필요시 연장근로 가능’이라고 응답한 근로자의 비중이 48.4%, ‘소득향상을 위해 연장근로 적극 희망’이라고 답한 근로자 비중이 11.7%였다.
전경련은 “1953년 근로기준법 제정 이후 큰 틀의 변화 없이 유지돼 온 ‘주 단위’의 근로시간 규제는 시시각각 변하는 산업현장에 대응하는 데 한계가 있고 일하는 방식이 다양화되고 있는 시대적 흐름에도 역행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근로시간과 업무성과가 비례한다는 응답은 55.1%, 비례하지 않는다는 답변 비율은 44.9%였다. 직종별로는 영업직(50.3%), 연구개발직(48.2%), 서비스직(46.7%), 관리·사무직(44.9%) 순으로 근로시간과 업무성과 간 관련성이 없다고 답했다.
응답자 10명 중 7명(68.1%)은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 근로시간 운영방식으로 ‘업무량 또는 개인의 업무집중도에 따라 출퇴근 시간 자유롭게 선택’을 꼽았다. ‘전 직원 동일한 출퇴근 시간 적용’이 도움이 된다는 응답은 31.9%였다.
선호하는 근로시간 유형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55.3%가 ‘필요시 주 3~4일간 몰아서 일하고 주 1~2일 휴무’를 꼽았다. ‘매일 8시간씩 주 5일 근무’를 꼽은 근로자 비중은 44.7%였다.
유연근로시간제를 활용하고 있는 20~30대 근로자 10명 중 7명(73.5%)은 유연근무제가 업무성과와 생산성 향상에 긍정적이었다고 평가했다. 유연근무제가 불필요한 초과근무를 줄이는 데 효과적이라는 답한 근로자 비중도 70.0%였다.
정부가 추진하는 근로시간 유연화 정책에 대해서는 82.0%가 긍정적으로 본다고 답했다. 이유로는 업무상 필요시 집중 근로, 급박한 사정 발생 시 휴가 사용 등 근로시간 선택권 확립 가능(36.8%), 육아·학업·여가 등 생애 설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26.7%) 등을 꼽았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국가 경제를 이끌어 갈 청년들이 근로시간 유연화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있는 만큼 근로시간제도 개편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는 동시에 근로자들의 삶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