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용 상위 10%’ 논문에서도 중국 두각
기업은 미국이 앞섰지만, 중국이 추격 중
![](https://img.etoday.co.kr/pto_db/2023/01/600/20230116144606_1842055_1200_800.jpg)
16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네덜란드 학술정보업체 엘스비어와 함께 국가와 기업별 AI 연구역량을 조사한 결과 AI 관련 논문 수에서 중국이 계속 선두를 유지했다고 보도했다.
조사 기간은 2012~2021년으로, 800종의 AI 관련 키워드가 담긴 학술 논문이나 학위 논문이 조사 대상이었다. 이 기간 세계 AI 논문 수는 2만5000편에서 13만5000편으로 급증했다. 특히 2021년 중국에서만 4만3000편의 논문이 나왔는데, 미국의 2배에 달한다.
질적으로도 중국 논문은 다른 국가들을 능가했다. 다른 논문에 인용되는 상위 10% 논문(주목 논문) 중 중국 논문은 7410편에 달했다. 미국보다 70%나 많은 수치다. 2012년만 해도 미국이 629편으로 선두를 차지하면서 중국(425편)을 2위로 따돌렸지만, 2019년 두 국가 순위가 바뀐 후 그 격차는 벌어지고 있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23/01/600/20230116144605_1842054_680_628.jpg)
중국의 기세는 앞으로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는 2017년 ‘차세대 AI 발전 계획’을 세우고 2030년까지 AI 개발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이후 정부 직속 최고연구기관인 중국과학원을 비롯해 칭화대 등 주요 대학이 AI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지난해 3연임에 성공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역시 지난달 경제운영 방침을 정하는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AI 등 첨단기술의 연구개발과 활용을 가속해야 한다”며 지원을 약속했다.
닛케이는 “AI는 다양한 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고 그 연구 성과는 기술 상용화로 이어지기 쉽다”며 “미국과 중국 기업들은 개발에 힘을 쏟고 있으며 앞으로도 격렬한 경쟁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