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지점’ 이용 시 AI가 기업 특성 따른 보증 추천
![](https://img.etoday.co.kr/pto_db/2023/01/600/20230112144648_1840861_429_286.jpg)
정부가 기술을 개발하고 싶어도 담보가 없거나 신용도가 낮아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에 정책금융 26조7000억 원을 공급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올해 신규 5조 7000억 원과 만기연장 21조 원을 포함해 총 26조 7000억 원 규모의 기술보증을 공급한다고 12일 밝혔다.
신규보증은 전년 대비 1조 5000억 원 증액한 5조 7000억 원 규모로 공급한다. 상반기에 신규보증의 60%를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우수한 기술력을 가진 중소‧벤처기업이 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해당 자금이 기업운영에 이용될 수 있도록 전체의 80%가 운전자금으로 공급된다.
또 원금상환 등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에 21조 원 규모로 보증을 연장한다. 중기부는 약 1만 1400개 사가 보증료 인하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신규보증에 대해서는 보증료율을 0.2%p 인하해 금융 이용 부담도 덜어준다.
보증 신청부터 보증서 발급까지 인터넷을 통해 진행되는 ‘디지털 지점’ 이용 시 인공지능(AI)을 활용해 기업 특성에 맞는 보증을 추천하는 기능이 도입된다. 1억 원 이하의 소액으로 지원되는 ‘원클릭 보증’의 경우 대출 은행에 제출된 신청 필요서류가 디지털 지점으로 자동 전송, 대출과 보증 신청이 동시에 가능하다.
초기 창업기업 및 지방기업에 대한 보증연계투자 500억 원, 매출채권을 조기에 현금화 할 수 있는팩토링 서비스 400억 원, 중소‧벤처기업의 탄소중립 대응을 위한 보증지원 5000억 원도 제공한다.
중기부 관계자는 “기술보증을 이용하려는 기업은 사업장과 가까운 기술보증기금 영업점을 방문하거나 홈페이지를 이용하면 된다”며 “중소기업이 어려움을 이겨낼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