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확인서 확인 효과? 중국발 단기체류 외국인 양성률 15%로 '뚝'

입력 2023-01-08 13:5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잠복기 고려할 때 변동성 커…국내 유행은 현재진행형…'마스크 조정' 조만간 논의될 듯

▲중국발 입국자 코로나19 검사 의무화가 시행중인 6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에서 선양발 입국자들이 검역 지원 육군 장병들과 PCR검사 대기장소로 이동하고 있다. (뉴시스)

중국발 해외입국자에 대한 입국 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음성확인서 제출 의무화가 정착하면서 중국발 코로나19 확진환자가 큰 폭으로 줄었다. 다만, 중국발 확진자 유입과 별개로 국내 코로나19 유행 감소세는 더디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7일 중국발 해외입국자 1267명 중 단기체류 외국인 291명에 대한 진단검사를 실시한 결과, 43명이 양성으로 확인됐다고 8일 밝혔다. 양성률은 전날 23.5%에서 14.8%로 떨어졌다.

입국 전 음성확인서 제출이 의무화된 5일 이후 이틀간은 양성률이 20%를 웃돌았으나, 이후 정부가 음성확인서 확인 작업을 진행하면서 양성률이 급락했다. 2일 이후 누계로는 총 입국자 7465명 중 단기체류 외국인 1643명이 검사받아 357명(21.7%)이 확진됐다. 물론, 입국 전에는 잠복기로 음성 판정을 받았다가 입국 후 양성으로 뒤바뀌는 사례도 있어 변동성은 존재한다.

중국발 확진자 유입과 별개로 국내 유행은 현재 진행형이다. 이날 0시 기준 4만6766명으로 집계됐다. 전주 일요일(발표일)인 1일(5만7527명)보다 1만761명(18.8%) 줄긴 했으나, 진단검사량도 함께 줄어들고 있어 추세를 낙관하긴 어렵다. 특히 재원 중 위중·중증환자(526명)가 여전히 500명을 웃돌고 있다. 주간 일평균 사망자도 50명대에 정체된 상황이다.

변이 리스크도 여전하다.

최근 들어 기존 변이보다 전파력이 강한 BN.1 점유율이 가파르게 확대되고 있다. BN.1은 ‘켄타우로스’로 불리는 BA.2.75(오미크론 하위변위)의 하위계통이다. 방대본이 인용한 영국 보건청 자료에 따르면, BN.1의 검출 속도는 중국에서 유행 중인 BA.5.2(오미크론 하위변위)보다 44.5% 증가하고, 중화능은 BA.4·5보다 2.7배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됐다.

신규 변이가 확산하고 있지만 예방접종률은 정체돼 지난해 12월 3주차(18~24일) 재감염 추정사례 비율은 17.90%로 전주보다 0.79%포인트(p) 올랐다.

이런 상황에 정부는 조만간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1단계 해제를 위한 논의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정부는 △4주간 확진자 발생 2주 이상 연속 감소 △주간 신규 위중·중증환자 감소 및 주간 치명률 0.10% 이하 △4주 내 동원 가능한 중증환자 병상 50% 이상 △고령자 동절기 추가접종률 50% 이상 및 감염취약시설 동절기 추가접종률 60% 이상 등 4개 지표 중 2개 이상 충족을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1단계 해제를 위한 조건으로 제시했다.

이미 일부 지표는 충족된 상태다. 변수는 중국 상황과 국내 변이 유행 추이다. 정부가 이들 지표에 대해 “절대적인 판단기준은 아니다”라고 밝힌 만큼, 지표가 충족돼도 마스크 조정 논의는 다소 미뤄질 수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