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콘텐츠 역대 최대 7900억 지원…관련 산업 수출 확대

입력 2023-01-05 17:0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023년 관광 대국 원년으로…케이 콘텐츠 집중 육성

▲서울시내 한 영화관의 모습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최근 사활을 걸고 있는 수출 증진에 문화체육관광부가 K-콘텐츠를 강화해 힘을 실을 전망이다. 문체부는 K-콘텐츠의 전략적 수출을 지원하기 위해 올해 역대 최대 규모인 7900억 원을 지원한다. 나아가 대한민국 대표 주력산업으로 케이 콘텐츠를 집중 육성해 나간다는 복안이다.

문체부(박보균 장관)는 5일 ‘케이-컬처가 이끄는 국가 도약, 국민행복’을 비전으로 2023년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먼저, K-콘텐츠 펀드 4100억 원을 비롯해 역대 최대규모인 7900억 원을 중소기업, 스타트업 등 민간투자가 어려운 콘텐츠산업에 지원한다. 특히 ‘한국판 디즈니’와 같은 세계적인 지식재산권(IP) 보유 콘텐츠 기업을 육성하기 위한 ‘콘텐츠 지식재산권(IP) 펀드(1500억 원 목표)를 조성한다.

장르별 맞춤지원으로 경쟁력도 강화한다. 특히, 온라인 동영상서비스(OTT) 특화 콘텐츠 제작지원을 대폭 확대하는데 454억 원을 투자하며 자막·더빙 등 후반작업 지원에 300억 원도 새롭게 지원·추진한다. 자체등급분류제도 3월에 도입된다. 나아가 영화관람료 문화비 소득공제 대상 포함 등 OTT 및 영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규제 혁신도 이어간다.

재정지원을 통해 K-팝 열풍도 이어간다. 이를 위해 온라인 K-팝 공연과 음악산업 분야 정보통신기술(ICT)에 각각 80억 원과 82억 원을 지원한다. 웹툰·웹소설 분야의 경쟁력은 웹툰융합센터를 설립해 강화한다. 설립에는 총 500억 원의 예산이 들 예정이며, 이를 통해 10억뷰 작가를 육성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예비창업자, 스타트업·벤처기업의 참신한 콘텐츠 기획안이 창업·사업화로 이어지도록 기획·개발 단계부터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구체적으로는 △게임 50억 원 △영화 70억 원 △방송 18억 원 △웹툰 33억 원 △패션 4억 원 등이다.

신기술 융복합아카데미를 통해 콘텐츠 기획·제작과 첨단기술 분야 현장형 교육을 실시, 전문가를 통한 도제식 멘토링을 지원하는 등 미래인재 양성에 힘쓴다. 이에 문체부는 2023년 564억 원을 지원, 3년간 관련인재 총 1만 명을 양성한다.

한편, 문체부는 2023년을 관광 대국의 원년으로 삼는다. 청와대를 중심으로 ‘역사문화관광 클러스터’를 조성해 관광브랜드를 육성한다. 또 국정과제인 ‘지역 중심 문화균형발전’의 선도사업으로 ‘대한민국 문화도시’ 지정을 추진해 4년간 도시당 200억 원 내외를 지원한다. 스포츠산업도 새로운 경제성장 동력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생애주기별 스포츠활동을 제공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