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감축 없으면 21세기말 남부지방 겨울 사라진다

입력 2022-12-29 09:00수정 2022-12-29 17:4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온실가스를 감축하지 않으면 21세기 말에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겨울이 사라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기상청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제6차 평가보고서의 17개 광역시도, 200여개 시군구, 3500여개 읍면동별 기후변화 전망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17개 광역시도의 연평균기온은 현재(10.5~16.1도) 대비 21세기 후반기(2081~2100년)에 2.2~6.7도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탄소를 현재 수준과 유사하게 배출하는 '고탄소 시나리오'의 경우 제주(5.8도)를 제외한 16개 광역시도가 6도 이상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의 증가폭은 6.7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광역시도의 연강수량은 현재(1093.1~1758.5㎜) 대비 21세기 후반기에 -10.2~378.8㎜로 지역별로 증감하는 경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21세기 후반기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제주특별자치도가 현재 대비 378.8㎜로 가장 많이 증가하는 것으로 전망됐다.

폭염·열대야일수는 현재(4.8~32.4일·2.2~22.5일) 대비 21세기 후반기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11.6~96.7일, 11.4~84.8일 증가하고, 한파·서리일수는 현재(0~21.9일·10.1~123.7일) 대비 미래에 –19.3~0일, -67.0~-7.3일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됐다.

21세기 후반기로 갈수록 봄의 시작일은 빨라지고 여름은 길어지며, 겨울은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21세기 후반기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강원도와 제주도의 여름이 현재 각 81일, 129일에서 163일, 211일로 82일 길어지고, 전북·전남·경남·제주 등 8개 광역시도는 겨울이 없어지는 것으로 전망됐다.

이번에 발표된 광역시도, 시군구, 읍면동별 기후변화 전망 정보는 정부 부처와 지자체, 공공기관 등의 기후위기 적응·완화 정책 수립 및 기후변화 영향평가에 활용될 예정이다.

유희동 기상청장은 “이번 전망 결과는 우리 동네의 미래 기후위기 수준을 제시한 것으로 정책적으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국민 체감도가 높은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