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직장인 자살 예방, 성별 따라 맞춤 관리해야”

입력 2022-11-22 09:26수정 2022-11-22 11:1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남성 근로자 ‘근무시간 증가’·여성 근로자 ‘근무시간 이외 요인’ 영향

(사진제공=강북삼성병원)

우리나라 근로자의 자살 예방을 위해 성별에 따른 맞춤 관리가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제시됐다.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전상원·조성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이희준 전공의는 2015~2019년 강북삼성병원 기업정신건강연구소의 심케어 서비스(직장인 마음 건강 증진 서비스)를 이용한 국내 근로자 9326명을 대상으로 자살사고 발생 위험을 높이는 직무 스트레스 요인을 성별에 따라 분석했다.

그 결과, 남성 근로자는 ‘근무시간의 증가’와 자살사고 증가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여성 근로자는 ‘근무시간 이외의 요인’이 자살사고 증가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남녀에 따라 우리나라 직장인에게서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를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직장인의 성별을 고려한 자살 예방 대책이 필요성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전상원 교수는 “직장인의 자살사고와 근무시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동시에 성별에 따른 자살 예방 대책을 고민해 볼 수 있는 연구”라며 “직장인 자살 예방을 위한 근무시간 조절, 초과 근무자에 대한 적절한 보상 제공 등의 효과 분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OECD 국가 간 연령표준화 자살률(OECD 표준인구 10만 명당 자살 사망자 수)로 비교하면 OECD 38개국 평균 11.1명에 비해 한국은 23.6명으로 집계됐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전문학술지 ‘Precision and future medicine’에 게재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