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하락에 아파트 안 찾는다…서울 매수심리 3년 반 만에 최저

입력 2022-11-04 13:4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신태현 기자 holjjak@)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 하락 폭이 10년 4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한 가운데 주택 매수심리도 최저 수준으로 하락했다.

4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 주(지난달 31일 조사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72.9로 지난주 75.4에 이어 2.5포인트(p) 떨어졌다. 지난 5월 첫째 주(91.1) 이후 26주 연속 내림세며, 단순 수치상으로는 2019년 4월 넷째 주(72.4) 이후 3년 6개월 만에 최저치다. 지수 낙폭도 지난주(0.6p)보다 4배 이상으로 커졌다.

매매수급지수는 기준선인 '100'보다 낮을수록 시장에 집을 사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서울 아파트 거래심리가 얼어붙으면서 아파트 거래량은 연내 최저 수준을 기록 중이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 조사 기준 지난 9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614건(계약 일자 기준)으로 2006년 실거래가 조사 집계 이후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지난해 9월(2691건)과 비교하면 22.8% 수준에 불과하다.

특히, 젊은 층의 매수세가 집중된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지역인 동북권의 수급지수는 지난주(69.6)보다 더 내려간 67.3을 기록하며 서울 5대 권역 중 최저로 조사됐다.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가 있는 동남권의 매매수급지수는 77.4로 2주 연속 지수 80을 밑돌았다. 경기(76.5)와 인천(74.5) 지수도 지난주보다 하락하면서 수도권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75.2로 내려왔다.

전국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도 80.6으로 지난주(82.3)보다 하락하며 지수 80선 붕괴를 눈앞에 두고 있다.

서울의 전세수급지수는 지난주 75.4에서 이번 주 72.9로 급락했다. 동남권 전세수급지수는 76.5를 기록하며 지수 80 아래로 떨어졌다. 수도권 전체 전세수급지수도 76.4로 지난주(79.2)보다 하락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