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이전·사업화 가장 큰 장애요인…사업성·가치 높은 기술 부족

입력 2022-10-16 11:03수정 2022-10-16 11:0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자료=산업통상자원부)

일선 현장의 연구자들이 기술공급자 입장에서 기술이전·사업화의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기술이전·사업화의 대상이 되는 사업성이나 가치가 높은 기술의 부족’을 꼽았다.

16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KAIT)가 발표한 공공연구기관 기술이전·사업화 실태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가장 높은 비율인 16.1%가 사업성이나 가치가 높은 기술의 부족을 기술이전·사업화 장애요인으로 들었다.

그 다음으로 △연구자(기술개발자)의 기술이전·사업화 활동에 대한 인식이나 참여가 저조(15.7%) △기술이전·사업화 활동을 위해 활용가능한 기관 내·외부 자원 중 인력의 부족(14.1%) 등의 순으로 나왔다.

또 기술이전·사업화 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기관 차원의 제도나 인센티브 부족(13.9%), 기술을 도입하거나 사업화를 진행할 수요기업, 창업자 등의 발굴 어려움(13.0%)도 10% 넘는 비율을 보였다.

기관의 기술이전·사업화 이후 성과 관리의 어려움(7.7%), 기술이전·사업화 활동을 위해 활용 가능한 기관 내·외부 자원 중 예산의 부족(7.5%) 등도 기술이전·사업화 장애요인으로 꼽혔다.

기술 유형별로 보면 특허가 1만 1238건(73.1%)으로 가장 많았고 노하우가 3499건(22.7%)으로 그 뒤를 이었다.

계약유형별로 보면 유상실시와 유상양도를 통해 이전된 기술이 각각 9888건(64.3%), 4114건(26.7%)으로 91%를 차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