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반의 반바퀴 이동해 국내 들어온 귀한 원유

입력 2022-10-12 16:54수정 2022-10-12 17:0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석유공사 자회사가 투자한 원유 36.2만 배럴 국내 하역 완료

▲원유 수송선 모습. (사진제공=한국석유공사)

한국석유공사 아랍에미리트(UAE)에서 생산한 석유 36만 배럴이 국내로 들어왔다.

12일 석유공사에 따르면 공사는 지난달 UAE에서 생산한 원유 36만 2000배럴이 국내 도착해 하역작업을 마쳤다.

이번 직도입을 통해 국내에 들여온 원유는 석유공사 자회사인 KADOC이 40%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UAE 할리바 광구에서 생산한 머반유(Murban Crude)다. 공사가 싱가포르 현물시장을 통해 SK에너지에 판매한 해당 물량을 SK에너지가 UAE에서 선적해 국내로 운송하는 방식으로 들여왔다.

이 원유는 약 30일 간 1만 1000㎞의 이동해 이달 6일 SK에너지 울산 콤플렉스에 도착했으며 하역작업 완료 후 정제과정을 거쳐 국내 제품유 시장에 최종 유통된다.

임종찬 석유공사 해외사업 1처장은 “국내 산업부문을 포함해 국가 에너지안보에 미치는 석유자원의 영향력은 절대 간과될 수 없는 사안”이라며 “유사 시 해외 자원개발을 통해 확보한 원유를 신속하게 국내에 도입해 국가와 국민의 안녕을 담보하는 것은 공사의 핵심적 기능 중 하나”라고 말했다.

공사는 올해 6월 말 기준 총 1억 4600만 배럴 용량의 비축기지 저장시설에 약 9650만 배럴의 원유 및 제품유를 비축하고 있다. 공사의 비축량은 외부로부터 일체 국내 원유공급이 중단된 상황에도 국제에너지기구(IEA) 기준으로 우리나라가 111일을 버틸 수 있는 물량이다.

아울러 공사는 글로벌 석유수급 불균형 상황의 악화로 인해 국내 원유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을 가정, 올 여름부터 공사가 해외에서 직접 생산한 원유를 실제 우리나라에 들여오는 작업을 준비해 왔다.

이번 원유 직도입 실행이 유사 시 국가 에너지안보 확립태세를 재점검하는 동시, 해외 생산원유 직도입 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완책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라고 공사는 설명했다.

한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와 코로나 사태 이후 산업수요 증가로 인해 올 7월 120달러를 넘어섰던 서부산텍사스유(WTI) 등 국제유가는 최근 인플레 우려에 따른 각국의 긴축움직임 및 이에 따른 경기후퇴 전망에 따라 80달러대로 떨어졌다가 오펙플러스(OPEC+)의 감산 조치로 다시 오름세를 보이는 등 그 불안정성이 어느 때보다 심화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