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배달 앱 이용 29% 증가...토ㆍ일 주문 음식이 다르네

입력 2022-08-11 08:5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지난해 주 1회 배달음식 이용, 월평균 이용금액 13만4000원

코로나19 유행 시기 배달 앱 이용 건수가 29% 증가한 가운데 배달앱 1위인 치킨은 월요일 대비 토요일 이용 건수가 70% 이상 급증한 것으로 드러났다.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11일 하나카드의 배달 앱 결제 데이터를 분석한 '배달 앱 이용 현황과 메뉴 유형별 수요 특성'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데이터 분석 결과 코로나19 유행으로 최근 2년간 음식 배달 수요가 크게 늘어나며 배달 앱 사용이 일상화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주말로 갈수록 배달 수요가 증가했다. 또, 서울시 행정동별 인구 구성과 배달 수요 특성을 분석한 결과 30대 인구비율이 높을수록, 가구원 수가 적은 행정동일수록(특히 1인 가구) 인당 배달 수요가 더 많았다.

코로나19 유행 시기 인당 월평균 배달 앱 이용 건수 5.4회

하나금융연구소는 코로나19 유행 전인 2020년 1월부터 4차 유행 이후인 2021년 12월까지 주요 배달 앱에서 하나카드 원큐페이로 결제한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2020년 대비 2021년 배달 앱 전체 이용 건수는 29%, 전체 이용 금액은 35% 각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월평균 배달 앱 이용 건수는 2020년 1월 4.1건에서 2021년 12월 5.4건으로 증가해 평균 주 1회 이상 배달 음식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1인당 월평균 이용 금액은 8만8000원에서 13만4000원으로 52% 증가했으며 주문건당 이용 금액도 16% 증가했다.

배달 수요는 주말에 가까워질수록 증가해 이용 건수는 월요일 대비 일요일에 56% 증가하고 이용 금액은 월요일 대비 토요일에 66% 증가했다.

다만, 주말이라도 토요일과 일요일의 메뉴 선호도 및 증가율은 다소 차이를 보였다. 회식, 모임이 많은 금, 토요일에 배달 수요가 가장 높은 메뉴 1위는 ‘치킨’이었다.

토요일에는 치킨류(70%), 족발·보쌈(93%), 야식(73%) 이용 건수가 월요일 대비 가장 높게 증가했다. 일요일에는 피자(99%), 중식(92%), 패스트푸드(41%) 수요가 더 높았다.

서울시에서 배달 수요가 많은 상위 20개 행정동을 비교한 결과 30대 인구 비율이 높을수록 인당 누적 이용 금액과 건수가 비례해 증가했다. 30대 인구 비중이 가장 높은 강남구 역삼1동의 경우 두 번째로 수요가 많은 화곡1동과 비교해 1.6배나 많은 배달 수요를 보였다.

30대 또는 1인 가구 비중이 높은 지역일수록 배달 수요 더 높아

1인 가구 비율이 높거나 가구당 인구수가 적은 신림동, 논현1동도 상대적으로 인당 누적 이용 금액이 더 많았다. 또 가구당 연평균 소득이 높은 행정동이 인당 누적 이용 금액도 많았다.

보고서는 연령대별 인구 분포와 가구 특성 차이에 따른 배달 상권 분석 사례로 강남구 역삼1동과 역삼2동의 배달 앱 이용 현황을 비교했다.

사무실과 오피스텔이 많은 역삼1동은 1인 가구와 30대 인구 비중이 높아 20~30대의 이용 금액이 전체의 74%를 차지했다. 이 지역은 상대적으로 한식 수요가 가장 많았으며, 두 번째로 수요가 많은 치킨보다 이용 건수가 1.6배 높았다.

반면, 초중고 등 학교가 밀집된 역삼2동은 상대적으로 3인 이상 가구와 40대 비중이 높고 30~40대 이용 금액이 전체의 70%를 차지했다. 해당 지역은 역삼1동과 달리 한식과 치킨 두 메뉴 간의 수요 차이가 거의 없었다.

박상현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배달 앱 이용 성향은 연령대별 인구 구성, 가구당 인구수, 가구당 소득 등과 같은 지역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라며 “향후 소상공인 마케팅과 지역 경기 파악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