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경제성장률 0.7%… 소비 늘었지만, 버텨주던 수출 마이너스

입력 2022-07-26 08:00수정 2022-07-26 10:0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수출 3.1% 감소… 4분기만에 마이너스 성장
교역조건 악화… 실질 국내총소득(GDI) 1.0% 감소

(한국은행)
올해 2분기 우리나라 경제가 0.7% 성장했다. 민간 소비와 정부소비 증가로 플러스 성장을 유지했지만, 수출이 마이너스를 기록하며 앞으로 경제성장 전망을 어둡게 했다.

한국은행은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속보)이 전 분기 대비 0.7%로 집계됐다고 26일 발표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2.9% 성장했다.

분기별 성장률은 2020년 1분기(-1.3%) 2분기(-3.2%) 마이너스(-)를 기록한 뒤 3분기(2.2%) 4분기(1.1%), 2021년 1분기(1.7%), 2분기(0.8%), 3분기(0.3%), 4분기(1.2%), 2022년 1분기(0.6%), 2분기(0.7%)까지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2분기 부문별 성장률을 보면 민간소비는 준내구재(의류 및 신발 등)와 서비스(오락문화, 음식·숙박 등)를 중심으로 3% 증가했다. 정부소비는 사회보장현물수혜를 중심으로 1.1% 늘었다.

건설투자는 건물 건설을 중심으로 0.6% 증가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 투자 위축으로 1.0% 줄었다.

우리 경제의 버팀목인 수출은 감소세로 전환했다. 지난해 2분기(-0.7%) 이후 4분기 만이다. 수출은 화학제품, 1차 금속제품 등을 중심으로 3.1% 줄었다. 수입도 원유, 천연가스 등을 중심으로 0.8% 감소했다.

(한국은행)

2분기 성장률에 대한 민간소비와 정부소비 기여도는 각각 1.4%포인트(p), 0.2%p를 나타냈다. 반면 순수출(수출-수입) 기여도는 -1.1%p를 기록했다. 그만큼 수출이 2분기 우리나라 성장률을 깎아 먹었던 얘기다.

업종별 성장률은 서비스업(1.8%), 건설업(0.2%)이 증가했으며, 농립어업(-6.4%), 제조업(-1.1%), 전기가스수도사업(-0.5%)은 감소했다.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실질 국내총생산(0.7%) 증가에도 불구하고 교역조건 악화로 1.0% 줄었다. 기업과 가계의 실질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인 실질 GDI의 하락은 경제주체의 소득 여건이 나빠졌다는 뜻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