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일 확진자 10만 명대 눈앞…정부는 '소통'만

입력 2022-07-24 15:4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격리 지원 축소에 검사 건수도 감소세…더블링 못 잡으면 이주 확진자 15만 명

▲24일 오후 서울 서초구 고속터미널역에 마련된 서초구임시선별검사소에서 시민들이 코로나19 검사를 받기 위해 길게 줄지어 서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코로나19 확진자는 6만 5,433명으로 집계돼 일요일 14주 만에 최다를 기록했다. (뉴시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환자가 사흘째 6만 명대를 기록했다. 확산세가 이어지면 휴일효과가 종료되는 화요일(발표기준, 26일)에는 신규 확진자가 1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24일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6만5433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특히 사망자와 위중·중증환자 증가세가 가파르다. 사망자는 22일 31명, 23일 30명 추가된 데 이어 이날 18명 추가됐다. 직전 이틀보단 줄었으나, 전주 대비로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재원 중 위·중증환자는 전날보다 6명 늘어 146명이 됐다.

이에 준중증환자 병상과 감염병 전담병원 병상 가동률은 각각 38.1%, 33.8%까지 올랐다. 중증환자 병상 가동률도 21.3%로 상승했다. 재택치료 대상자는 40만 명에 육박하는 상황이다.

전반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등 강제적 방역조치 없는 ‘자율적 거리두기’가 한계를 보이고 있다. 여기에 확진·격리자에 대한 생활지원비·유급휴가비 지원대상 축소로 검사 참여도 줄고 있다. 방대본에 따르면, 19일 19만6481명이었던 검사 건수는 23일 13만2777건으로 감소했다.

윤석열 정부 ‘과학방역’의 상징인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회’도 뾰족한 수가 없긴 마찬가지다. 21일 열린 2차 회의에서 자문위는 ‘유행상황에 대한 모니터링과 유행 예측은 향후 정부의 대응에 매우 중요한 과학적 근거’라는 원론적 입장을 되풀이했다. 특히 거리두기에 대한 부정적 견해를 재확인하며 ‘대국민 소통’을 강조했다. 현재 확산세가 방역조치보단 국민적 이해와 정부의 소통·신뢰가 부족해 발생한 일이라는 인식이다.

자문위가 방역정책의 옥상옥(屋上屋)이 되면서 기존에 방역 컨트롤타워 역할을 했던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의 입지만 좁아지는 모습이다.

한편, 18일부터 코로나19 4차 예방접종 대상이 50대까지 확대됐지만, 접종률은 여전히 한 자릿수에 머물고 있다. 22일 0시 기준 60세 이상과 50대의 인구 대비 4차 접종률은 각각 34.4%, 2.2%에 머물고 있다. 50대는 예약률도 7.4%에 불과하다.

4차 접종률 제고를 위한 정부의 대책은 ‘홍보’가 전부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보건복지부 대변인)은 22일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브리핑에서 “반상회보라든지 아파트 방송, 마을 방송 등을 활용해 계속 홍보하고 있다”며 “이외 취약시설에 대해서는 방문팀을 만들어서 찾아가서 접종하는 노력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