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국민순자산 1경9809조 '역대 최대'...주택ㆍ주식 가치 대폭↑

입력 2022-07-21 12:0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전년보다 11.4% 증가...비금융자산ㆍ순금융자산 모두 늘어

(자료제공=통계청)

지난해 가계 및 비영리단체를 비롯해 금융·비금융법인, 일반정부의 순자산을 모두 더한 '국민순자산(국부)'이 전년보다 11.4% 늘면서 역대 최고치를 찍었다.

부동산, 주식 가치 상승 등으로 비금융자산과 순금융자산(금융자산-금융부채)이 대폭 늘어난 것이 국민순자산 증가로 이어졌다.

통계청과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2021년 국민대차대조표 결과(잠정)'에 따르면 작년 말 우리나라의 국민순자산은 전년보다 2030조 원(11.4%) 증가한 1경9809조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역대 최고치이며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9.6%배 수준이다. 배수가 전년(9.2배)보다 높아졌다.

국민순자산 중 비금융자산(전체의 96.1%)은 1경9027조 원으로 전년보다 1778조 원(10.3%) 늘었다. 토지자산 증가(10.0%)와 건설자산 증가(12.2%) 등이 비금융자산 증가폭을 키웠다.

특히 부동산(토지+건물) 자산은 10.8% 늘면서 비금융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77.1%에서 77.5%로 확대됐다. 이러한 비중은 영국, 프랑스 보다는 낮고 미국, 일본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토지자산의 경우 여전히 높은 증가세(10.0%)를 보였으나 지난해 건물자산 증가세(13.0%)가 가팔라지며 토지자산 비중이 56.3%에서 56.1%로 소폭 줄었다.

작년 말 토지자산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배율은 5.2배로 전년(5.0배)보다는 상승했다.

금융자산(2경1073조 원)에서 금융부채(2경291조 원)를 뺀 순금융자산(전체의 3.9%)은 782조 원으로 252조 원(47.5%) 증가했다. 금융부채가 국내 비금융법인 등이 발행한 지분증권 및 투자펀드(+468조 원)를 중심으로 1637조 원(8.8%) 늘었지만 금융자산이 지분증권 및 투자펀드(+645조 원), 현금 및 예금(+434조 원)을 중심으로 1889조 원(9.8%) 증가한 것이 주효했다.

지난해 국민순자산 증감은 자산 취득 등 거래보단 자산가격 변동이 주도했다. 자산 순취득 등 거래요인이 317조 원 증가하는 데 그쳤지만 자산가격 변동 등 거래외요인은 1713조 원 늘었다. 부동산과 주식 등 금융자산을 많이 사들인 것도 있지만 집값이나 주식 가격 등이 오르면서 거래 없이 자산 가치도 크게 불었다는 뜻이다.

제도별로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1경1592조 원의 자산을 보유해 전체 국민순자산의 58.5%에 달했다. 이어 일반정부 5053조 원(25.5%), 비금융법인기업 2676조 원(13.5%), 금융법인기업 489조 원(2.5%) 순이었다. 이들 주체 모두 순자산이 전년보다 크게 늘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