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대 성장률에도...중국, ‘사실상 기준금리’ LPR 동결

입력 2022-07-20 13:3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주요국 긴축 기조 속 금리 인하 부담...통화정책 속도 조절

▲중국 인민은행 전경. 베이징/신화뉴시스

중국이 6월에 이어 7월에도 사실상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를 동결했다.

20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중국 인민은행은 이날 7월 1년 LPR를 3.7%로 동결하기로 했다. 모기지 금리의 기준점이 되는 5년 만기 LPR도 4.45%로 유지하기로 했다. 이는 모두 전월과 같은 수준으로 블룸버그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와 일치하는 결정이다.

LPR는 중국 내 18개 시중은행이 보고한 최우량 고객 대출 금리의 평균치로, 인민은행이 매달 공표하는 사실상의 기준금리로 통한다. 인민은행은 LPR를 낮춰 고시하는 방식으로 시중금리 인하를 유도해왔다.

인민은행은 신용대출, 기업대출 등 광범위한 대출 상품에 영향을 주는 1년 만기 LPR를 지난 1월 인하한 이후 2월부터 6개월째 동결하고 있다. 5년 만기 LPR는 지난 5월 부동산시장 진작 차원에서 비교적 큰 0.15%포인트 인하했다.

중국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시작된 경제성장 둔화 속에서 적극적인 통화정책을 펼쳐왔지만 최근 들어선 속도를 조절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난 15일 발표된 중국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0.4%로 추락하며 코로나19 대유행이 시작된 2020년 1분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인민은행은 최근 주요국가들의 높은 인플레이션이 잠재적으로 중국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작용하면서 금리 인하에 부담을 느끼는 모습을 보였다고 블룸버그는 설명했다. 미국과 유럽 국가를 포함한 주요 경제국이 금리를 인상하는 상황에서 금리 인하를 할 경우 자본 유출로 이어질 수 있어서 금리 인하 여력이 크지 않다는 것이다. 여기에 은행 간 유동성은 유지되고 있어 금리 인하 동인이 크지 않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스티븐 치우 블룸버그인텔리전스 수석 아시아 환율·금리 전략가는 "중국은 정책적 여력을 유지하기 위해 추가 통화 부양책을 내놓는 데 매우 신중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최근 미완공 주택 구매자들이 최근 모기지 원리금 상환 보이콧을 하는 듯 부동산 문제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있어 5년 만기 LPR는 올해 후반 인하할 가능성이 거론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