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이후 처음, 부동산 판매도 60% 감소
헝다 사태에 봉쇄 더해져 경기침체 불안 커진 탓
“작년 투기꾼이 문제였다면 올해는 구매자가 문제”
![](https://img.etoday.co.kr/pto_db/2022/06/600/20220621141947_1766882_1200_800.jpg)
20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는 중국 국가통계국을 인용해 4~5월 중국 70개 대도시 가운데 절반 이상의 도시에서 신규주택 가격이 2016년 이후 처음으로 하락했다고 보도했다.
치솟던 가격 상승 폭이 어느 정도 둔화한 것은 긍정적으로 볼 수 있지만, 문제는 넘쳤던 소비자들의 구매 의욕이 사라졌다는 점이다. 주택 가격이 내려가는 동안 부동산 판매는 60%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부동산 활황세를 누렸던 인구 700만 명의 항구도시 잔장은 4월 아파트 거래가 5채로 급감했고 5월 실적은 더 부진했다. 잔장에서 부동산 매매업을 하는 량자웨이는 “1년 전엔 별 무리 없이도 하루 아파트 3채를 팔 수 있었다”며 “아파트가 평범해도 기차역에서 멀지 않은 지역의 새 아파트는 구매자를 끌어들이기 충분했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은 가격이 내려갔어도 주택 구매 의욕은 여전히 돌아오지 않고 있다”며 “경기가 좋지 않고 팬데믹(전염병 대유행)의 지속적인 영향에 상황이 완전히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22/06/600/20220621141947_1766883_619_352.jpg)
게다가 결혼을 준비하는 청년들이 집 구매를 필수조건으로 삼는 등 전통적으로 중국 가계에선 저축 대부분을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하는 대신 부동산에 투자해 왔다. 이로 인해 중국인의 부동산 투자는 미국인 투자의 두 배가 넘는다고 NYT는 설명했다.
하지만 코로나19 봉쇄로 인해 경기침체가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자 부동산 시장 수요도 급격하게 줄기 시작했다. 봉쇄 중심지인 베이징과 상하이의 5월 소매판매는 각각 전년 동기 대비 26%, 37% 감소했고, 산업생산은 40%, 28%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타격은 가전과 의류, 자동차 등 다른 상품에 대한 구매까지 잠식해 중국 전반에 경제적 충격을 줄 위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중국 정부는 낮은 모기지 금리 유지와 신용대출 장려, 보조금 지급 등으로 주택 시장을 다시 살리려 하지만, 아직은 역부족이다.
NYT는 “1년 전만 해도 중국 부동산 시장이 우려하는 건 구매자가 아닌 투기꾼들이었다”며 “이제 정부는 사람들이 부동산을 다시 사도록 하지만, 잠재적 구매자들이 위험을 감수하기엔 인센티브가 충분하지 않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