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 국제유가, 미국의 이란 제재가 공급 불안 자극해 상승...WTI 1.97%↑

입력 2022-06-17 07:3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리비아 원유 생산량도 급감
원유 수요는 늘어날 것으로 보여 문제 가중

▲미국 뉴멕시코주 러빙턴 인근의 한 유전에서 펌핑잭이 석유를 뽑아올리고 있다. 러빙턴/AP뉴시스

국제유가는 16일(현지시간) 상승했다. 리비아의 원유 생산량이 줄고, 미국이 이란에 새로운 제재를 발표하면서 공급 우려가 커진 것으로 보인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7월물 미국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2.27달러(1.97%) 오른 배럴당 117.58달러에 마감했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8월물 브렌트유는 1.30달러(1.1%) 상승한 배럴당 119.81달러로 집계됐다.

미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경제 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장 초반 유가는 하락세를 보였으나 이후 수개월간 공급이 빠듯할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오면서 오름세로 돌아섰다.

미국 재무부가 이란의 석유업체들과 이들의 수출을 돕는 중국과 아랍에미리트(UAE)에 있는 유령업체들을 제재한다는 소식이 가격 상승을 부추겼다.

그간 기존 제재를 회피해 판매되던 원유가 줄어들 수밖에 없을 뿐 아니라 이란의 핵합의 복원 가능성이 크게 줄어들면서 이란산 원유가 시장에 나올 가능성도 크게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리비아의 원유 생산량이 줄면서 공급 불안을 더했다. 리비아의 하류 원유 생산량이 10만~15만 배럴로 집계됐는데 이는 지난해 하루 생산량인 120만 배럴에 10%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시장에서는 리비아의 불안정한 상황으로 원유 수송 문제도 지속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수요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23년에는 원유 수요가 더 늘어 하루 1억160만 배럴로 지금보다도 2%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의 봉쇄 완화도 수요를 견인할 전망이다.

RJO퓨처스의 엘리 테스파예 수석 시장 전략가는 CNBC방송에 “공급이 부족한 상황에서 수요가 둔화되고 있지 않다는 건 판매자에겐 기회로 보일 것”이라며 “대안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