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두기 해제에도 대기업 10곳 중 7곳 재택근무

입력 2022-06-08 14:2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단계적 일상회복 차원’…업무생산성 90% 이상 응답률 ↓
경총,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재택근무 현황 조사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후에도 대기업 10곳 중 7곳이 재택근무제를 유지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매출 상위 100대 기업(공기업 제외) 대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재택근무현황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 기업(66개)의 72.7%가 현재 재택근무를 시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다만 재택근무 시행 비중은 지난해 조사 결과(91.5%)보다 18.8%p 감소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후 재택근무 유지 이유 (출처=한국경영자총협회)

정부의 방역정책 완화에도 재택근무를 유지하는 이유로는 전면 출근에 따른 충격 완화 등 ‘단계적 일상회복 차원’이라는 응답(43.8%)이 가장 많았다. ‘직원들의 재택근무 선호 반영’(20.8%), ‘코로나19 재확산 방지를 위한 정부의 재택근무 장려 지속’(16.7%) 등이 뒤를 이었다.

현재 재택근무를 시행 중인 기업들이 채택하고 있는 시행 방식은 ‘필요 인원 선별 또는 신청’(33.3%), ‘교대 순환형’(27.1%), ‘부서별 자율운영’(25.0%) 등 순이었다.

경총은 “교대 순환형이 주를 이뤘던 작년에 비해 올해는 기업 업무 특성에 맞추어 다양한 방식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재택근무 시 체감 업무생산성은 ‘정상근무 대비 90% 이상’이라는 평가가 29.0%로 조사됐다. 지난해 조사에선 ‘정상근무 대비 90% 이상’이라는 평가가 40.9%로 집계된 바 있다.

코로나 위기 상황이 해소된 이후의 재택근무 활용·확산 전망에 대해서는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돌아갈 것’으로 응답한 기업이 51.5%로 조사됐다. '코로나19 해소 이후에도 재택근무가 활용‧확산될 것’이라는 응답도 48.5%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 사무공간 활용 변화에 대해 ‘변화없다’는 응답이 62.1%로 가장 많았고 ‘거점형 오피스 신설‘(22.7%), ’공유형 오피스 활용‘(18.2%)이 뒤를 이었다.

경총 하상우 경제조사본부장은 “우리 사회의 일상 회복에 맞춰 기업들도 재택근무에서 사무실 출근의 비중을 높여가는 과도기인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일하는 방식의 변화, 직원들의 재택근무 선호 등으로 인해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자리로 출근하는 전통적인 근무체계로 완전히 복귀하지 않는 기업들도 상당히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일하는 방식이 다양화되는 시대적 흐름에 맞춰 근로시간 유연화, 성과중심 임금체계에 부합하는 우리 근로기준법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