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 대응 위해 전담 조직 설치 필요
인플레이션 압력이 거세지는 가운데, 은행권의 건전성도 위협받고 있다. 각 은행이 전담조직 설치 등 전사적인 대응력 제고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한국금융연구원이 7일 내놓은 ‘거시 충격에 대한 은행 대출 연체율 스트레스 테스트’ 보고서에 따르면 거시경제 변수 세 가지가 동시다발적으로 충격을 발생시켰을 때 국내 은행 연체율은 지난해 말 기준 0.21%에서 0.46%로 상승할 것으로 추정된다.
세 가지 변수는 소비자물가(CPI) 상승률, 통화안정증권 1년 금리, 전국 주택가격지수 상승률 등 대출 연체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거시경제 지수다. 연구원은 2008년 이후 분기별 최대 변동폭을 토대로 거시 변수의 충격이 발생할 때 연체율에 미치는 영향을 테스트했다.
이지언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역대 최대 충격이 동시 발생한다 하더라도 연체 잔액은 BIS기준자기자본의 3.45%에 불과해 손실흡수 능력은 충분하다고 판단된다”라면서도 “예상외 손실은 이보다 훨씬 클 것이며 충격이 지속되는 기간이 1분기보다 길어지면 연체·손실 규모가 크게 증가할 수 있으므로 면밀한 거시건전성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번 테스트 결과,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연체율 상승에 가장 큰 영향을 줬다.
국내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달 기준으로 전년 동월 대비 5.4% 상승하면서 2008년 8월(5.6%) 이후 13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최근 인플레이션 압력은 코로나 출구전략에 따른 수요 촉발뿐만 아니라 국제정세 불안에 따른 원자재 가격 상승, 글로벌 공급망 병목현상 지속 등 복합적 요인에 기인해 안정화 시기를 예측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높아지는 인플레이션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은행권이 전담조직 설치 등 전사적인 대응력 제고에 나서야 한다는 제언도 나왔다. 구본성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인플레이션 압력의 확대와 국내은행의 경영방향’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구본성 선임연구위원은 “2011년 이후 인플레이션 수준은 낮았을 뿐만 아니라 일시적인 형태로 나타났으며, 현재 인플레이션 국면이 예상과 달리 지속할 경우 대응역량이 약화할 수 있다”라면서 “국내은행은 인플레이션에 대응한 경영 기조 조정도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구 연구위원은 “인플레이션의 장기적 수준, 변동성, 지속 여부가 초래할 수 있는 유동성 수준과 자산가격 변동성, 기업별 혹은 산업별 경영성과 변화 등이 은행 경영 전반에 미칠 영향을 점검해야 한다”라며 “유동성 측면에서는 예대율 관리나 핵심예금의 확대, 외화유동성 기반을 강화해 수신기반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긴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자산시장 측면에서는 변동성 확대에 대비해 부동산 등 자산시장 조정으로 인한 부실위험 파악과 손실 흡수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구 연구위원은 “부동산을 포함한 자산 가격의 추가적 상승세를 염두에 두기보다는 조정국면의 담보가치나 주택담보대출 담보인정비율(LTV)하락에 따른 부실가능성을 점검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산업 측면에서는 산업별로 단기적인 재무위험을 점검해야 한다”며 “거기경제 여건의 구조적 변화가 초래할 수 있는 매크로 시나리오의 설정과 연계해 예상치 못한 인플레이션 위험을 관리하는 내부조직 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내부 TF나 위원회 등을 설치해 전사적 차원의 대응력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