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밖 청소년 대부분 '교통비 지원' 원해…“집 밖으로 나오도록 동기 부여를”

입력 2022-05-17 15:3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게티이미지뱅크)

부모님과 관계가 좋지 않은 학교 밖 청소년은 용돈을 제대로 받기도 어렵고, ‘잘 다니던 학교 그만두고 돈을 들여서 학원을 다니려 하냐’는 말도 들어요. 그렇다고 아르바이트 자리를 쉽게 구할 수 있는 것도 아니거든요. 이 아이들 입장에서는 최소한의 운신을 할 수 있는 비용이 필요합니다.

학교 밖 청소년 10명 중 8명이 '교통비 지원'을 원한다는 여성가족부 발표를 두고 김희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이같이 말했다.

앞서 17일 여가부가 발표한 ‘2021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학교 밖 청소년이 가장 원하는 정책은 ‘교통비 지원(84.0%)’이었다. 이어 ‘건강검진(79.3%)’, ‘진학정보 제공(78.4%)’, ‘검정고시 준비지원(78.2%)’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교통비 지원’ 항목은 직전 조사인 2018년에는 없던 문항이다. 지자체가 청소년증에 포인트를 충전해주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대전광역시 ‘꿈키움수당’, 경상북도 ‘동행카드’가 대표적인 지원이다. 경우에 따라 학원비 지불, 편의점 이용 등도 가능하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학원,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에 가거나 검정고시를 접수하러 갈 때 활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비를 지원한다는 건 아이들이 집 밖으로 나와 본인 진로를 위해 활동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하는 것”이라고 의미를 짚었다.

한편, 학교를 그만두는 시기는 고등학교 때가 56.9%로 가장 많았다. 그만두는 이유는 ‘학교에 다니는 게 의미 없어서’가 37.2%로 가장 많았다. 다만, ‘다른 곳에서 원하는 것을 배우려고(29.6%)’, ‘심리정신적인 문제로(23.0%)’ 등 다양한 이유가 존재했다.

학교를 그만둔 뒤 하는 일은 ‘검정고시 준비(78.9%)’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다만 이번 조사는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단기쉼터, 소년원, 보호관찰소, 미인가대안학교, 내일이룸학교 등 유관기관의 보호, 관리를 받거나 검정고시에 응시한 학교 밖 청소년만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제도의 완전한 바깥에서 위기에 놓인 학교 밖 청소년의 현황은 포괄하지는 못한다는 지적에 여가부 청소년가족정책실 학교밖청소년지원과 박수미 사무관은 “청소년 본인이 개인정보제공에 동의하지 않으면 학교에서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로 당사자 정보가 넘어오지 못한다. 모집단을 파악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다만 “지난해부터 의무교육단계인 초, 중학교 청소년은 개인정보제공에 동의하지 않아도 학교 판단에 따라 학교밖지원센터로 정보를 넘겨줄 수 있도록 법이 개정됐다. 이후 대상을 고등학생으로 더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조사는 전국 9세 이상 24세 이하 학교 밖 청소년 3291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4월부터 12월까지 실시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