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반도체 강국’ 야망…꿈은 크지만 갈 길은 보이지 않아

입력 2022-05-14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인도 정부 “2026년 자국 시장 규모 81조원 달할 것”
글로벌 스탠더드로 보면 작아…빈약한 내수, 투자 걸림돌
전력·물에 대한 안정적 접근도 과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3월 21일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와 화상 회담을 하고 있다. AP뉴시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목표를 향해 묵묵히 노력하는 조용한 스타일의 리더십이 아니다. 그는 화려한 선언이나 열광적인 연설로 유명하다. 최근 그 전형적인 예는 4월 말 개최된 ‘세미콘 인디아 2022’ 콘퍼런스였다. 당시 모디 총리는 인도가 글로벌 반도체 제조업 허브가 될 잠재력이 있다고 큰 소리를 쳤다.

인도를 반도체 강국으로 도약시킨다는 모디 총리의 꿈은 크지만, 이를 위한 길은 평탄치 않을 것이라고 최근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진단했다.

WSJ가 보는 가장 큰 문제는 인도의 빈약한 반도체 시장이다. 미국과 독일, 일본 등 선진국들도 다시 반도체 생산에서 주도권을 쥐기 위한 경쟁에 뛰어들었다. 이들은 큰 시장이어서 기업들로부터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고 있다. 중국도 ‘반도체 굴기’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들 국가와 인도의 가장 큰 차이는 시장이라고 WSJ는 꼬집었다.

인도 정부는 자국 반도체 시장 규모가 2020년 150억 달러에서 2026년 630억 달러(약 81조 원)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글로벌 스탠더드로 보면 작은 규모다. 일부 업계 관계자들은 전 세계 반도체 시장이 2030년에 1조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인도는 현재 필요한 반도체 거의 대부분을 해외 메이커에 의지하고 있다. 인도 정부가 여러 차례 국내 산업 육성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심각한 반도체 품귀 현상이 전 세계를 강타한 지난해 인도 정부는 글로벌 디스플레이와 반도체 생산업체를 유치하는 100억 달러 인센티브 계획을 발표했다. 이런 우대책에도 세계 톱 기업이 관심을 보이는 것은 아니다. 미국과 유럽은 그 몇 배의 자금을 투입하려 한다.

인도는 지금까지 5개사로부터 205억 달러 상당의 반도체·디스플레이 공장 제안을 받았다. 문제는 한국 삼성전자와 대만 TSMC 등 세계적인 기업들은 여기에 빠져 있다는 점이다.

스마트폰 조립에서의 성공 경험으로 인도 정부가 반도체 산업 육성도 자신하는 것으로 보인다. 인도는 현재 중국에 이어 세계 2위 스마트폰 조립지로 부상했다.

그러나 WSJ는 “저렴한 노동력만으로는 부족하다”며 “반도체 생산은 기술·자본집약산업이며 전력과 물에 대한 안정적인 접근도 필요하지만, 인도 정부는 지금까지 그 공급에 대해 고민해왔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재 반도체 품귀 추세라는 타이밍을 놓치지 않는 것은 타당하지만, 이번에는 ‘달리기 전에 먼저 걷는 것을 기억하라’는 격언이 맞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