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중국에 이례적 쓴소리...“‘제로 코로나’ 지속 불가능”

입력 2022-05-11 09:2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개인·인권에 미치는 영향 고려해야”
특정 국가의 방역 정책 언급은 이례적

▲2월 11일(현지시간)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이 남아공 케이프타운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케이프타운/AP연합뉴스

세계보건기구(WHO)가 이례적으로 중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정책에 대해 쓴소리했다.

10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총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중국이 코로나19 확산을 위해 실시하는 엄격한 봉쇄 조치인 '제로 코로나' 정책을 재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테워드로스 총장은 "현재 코로나19 바이러스 특성과 행태를 생각한다면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면서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관한 지식이 늘어나고 더 좋은 대처 수단이 강구되기 때문에 이제는 전략을 바꿀 때가 됐다"고 말했다.

마이클 라이언 WHO 긴급대응팀장도 "제로 코로나' 정책이 개인은 물론 인권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WHO가 특정 회원국의 방역대책에 공개적으로 이의를 제기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WHO는 코로나19가 처음 출현한 중국에 대해 지나치게 우호적이라는 비판을 받을 만큼 비판적 발언을 삼갔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오미크론 변이가 중국에서 퍼지자 강경한 제로 코로나 전략을 고수하며 상하이 도시 봉쇄령을 이어가는 한편 수도 베이징에서는 대규모 검사를 확대하고 있다. 특히 상하이는 봉쇄 6주째를 맞고 있다.

애초 중국과 비슷한 봉쇄 방식을 시행하던 국가들은 대부분 정도 차이는 있지만, 규제를 완화, 코로나19 바이러스와 공존하는 '위드 코로나' 전략으로 이행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