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샘, 4년 안에 매출 4조원...‘리빙 테크기업’ 도약 선언

입력 2022-04-15 15:4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샘 김진태 대표가 15일 열린 '애널리스트 데이'에서 한샘의 경영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한샘)

한샘이 리빙 테크기업으로의 도약을 선언했다. 오는 2026년까지 총매출을 4조 원으로 끌어올리고,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한샘은 15일 여의도 콘래드서울에서 국내외 주요 증권사를 대상으로 ‘애널리스트 데이’를 열었다. ‘온·오프라인이 결합된 리빙 테크기업’으로의 도약이 이날 발표의 핵심 내용이다. 지난 1월 초 IMM프라이빗에쿼티(IMM PE)로 최대주주가 바뀐 뒤 내놓은 첫 경영 청사진이다.

이날 김진태 대표는 “2026년까지 매출 4조 원 달성을 위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공 프로세스 혁신 △고객경험 혁신 △운영 효율 극대화 △적극적인 신사업 추진 등 5개 중점 사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동안 제조·유통업을 기반으로 국내 홈인테리어 분야 1위에 올랐다면 앞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결합한 IT 기반의 리빙 테크기업으로 도약한다는 설명이다.

한샘은 설계, 물류, 시공, 유통 경쟁력 토대에 IT 기술을 더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고객이 리모델링의 모든 정보를 쉽게 찾고 스스로 설계할 수 있게 정보 탐색 영역을 고도화할 방침이다. 한샘은 전국 900여 개 대리점과 60여개 대형 쇼룸의 유통망, 5000여 명의 전문 설계상담 인력, 8000여 명에 이르는 시공협력기사 등 방대한 오프라인 조직을 갖추고 있다

오는 2024년까지 현재 10~15일 가량 소요되는 집 전체 리모델링 공사의 시공 기간을 최대 5일까지 단축하는 계획도 포함됐다. 실측, 공사일정 관리, 감리 등 시공 전 과정의 ERP(전사자원관리) 시스템도 강화한다.

또 영업과 SCM(공급망 관리), 상품 개발 등 핵심 분야에서 운영 효율 극대화에 집중한다. 리모델링을 사업을 담당하던 리하우스 사업본부와 부엌•욕실 전담 사업부문인 키친&바스 사업본부를 ‘홈리모델링 사업부문’으로 통합했다. 이원화 됐던 리모델링 관련 조직을 통합해 고객 상담과 설계, 견적, 시공 전 단계의 영업 시너지를 창출할 계획이다.

김진태 대표는 "한샘은 전통적인 제조·유통업이 아닌, 온·오프라인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리빙 테크기업으로 성장할 것"이라며 "2026년까지 홈리모델링 부문 매출 2조 원을 포함해 전사 매출 4조 원을 달성하겠다"고 말했다.

여기에 수익성 개선과 핵심사업 집중, 자산 효율성 증대 등으로 기업 가치를 높이고,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도 지속적으로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