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하나은행ㆍ신한은행, 전세대출 규제 완화

입력 2022-03-22 17:3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가계대출 전반에 대한 대출 문턱 낮아져, 새 정부 출범 이후까지 이어질 듯

(사진=연합뉴스)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이 지난해 10월 가계대출 증가 억제 차원에서 도입한 전세자금대출 규제를 완화한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은행과 신한은행은 오는 25일부터 임대차계약 잔금일 이후 전세자금대출도 취급하기로 했다. 더불어 전세자금대출 한도 역시 전세 갱신 계약서상 '임차보증금의 80% 이내'로 늘리고, 1주택 보유자의 비대면 전세자금대출도 허용키로 했다. 지난해 10월 전세대출 규제를 실시한 지 5개월 만이다.

앞서 우리은행은 지난 21일부터 전세대출 규제를 완화했다.

시중은행들은 작년 10월 가계대출을 억제하라는 당국의 요청에 협조하는 차원에서 전세자금대출을 임차보증금 상승분 한도로 잔금일 전에만 내주는 규제를 도입한 바 있다.

인터넷전문은행인 카카오뱅크도 이날부터 중단했던 1주택자의 일반 전·월세 보증금 신규 대출을 재개한다. 1주택 보유자의 경우 부부합산 연 소득 1억 원을 초과하거나 시세 9억 원 초과 주택을 보유한 경우에는 대출이 불가능하다. 2020년 7월 10일 이후 투기지역 및 투기과열지구 내 시세 3억 원 초과 아파트를 취득한 고객도 대출받을 수 없다.

KB국민은행과 NH농협은행 등도 같은 규제 조정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은행권은 전세자금대출뿐 아니라 가계대출 전반에 대한 문턱을 낮추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지난 7일부터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0.1∼0.2%포인트(p) 인하했다. 케이뱅크도 이달 5일부터 신용대출·신용대출플러스·마이너스통장 등 3종류 대출 상품 금리를 신용등급에 따라 최대 연 0.3%포인트 낮췄다.

NH농협은행은 지난 1월 신용대출 최대한도를 2000만에서 지난달 25일, 2억5000만 원까지 늘렸다.

이 같은 가계대출 규제 완화 기조는 새 정부 출범 이후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클 것이란 관측이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대선 과정에서 청년·무주택자 등 일부 계층에 대한 LTV(주택담보대출비율) 상향조정 등을 거론했다. 국민의힘 대선 공약집에 따르면 윤 당선인은 '부동산 정상화' 정책의 하나로서 생애 최초 주택구매 가구 LTV 상한을 80%로 높여 청년·신혼부부 등의 내 집 마련 기회를 늘리겠다고 약속했다. 첫 주택 구매가 아니더라도 LTV 상한을 지역과 관계없이 70%로 단일화하는 내용도 공약에 포함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