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능도 문·이과 통합시험…‘킬러문항’ 검토 단계 신설

입력 2022-03-22 14:48수정 2022-03-22 15:3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교육평가원 2023 수능 시행 기본계획 발표
EBS 수능 교재·강의 연계율 50%, 영어는 모두 간접연계

▲2022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진 지난해 11월 18일 서울 중구 이화외고에 마련된 시험장에서 수험생들이 시험 준비를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고이란 기자)

올해 11월 17일 치러지는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의 기본 출제방식이 지난해와 크게 달라지지 않을 전망이다. 다만 지난해 수능에서 발생한 출제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고난도 문항(킬러 문항)' 검토 단계 신설 등 새로운 제도가 도입된다.

이규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은 2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3학년도 수능 시행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2022학년도 수능에 처음 도입된 문·이과 통합형 체제는 올해도 이어진다. 국어·수학·직업영역은 '공통과목+선택과목' 구조가 적용된다. 수험생들은 국어영역에서 공통과목(75%)인 독서·문학 외에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중 하나를 골라 응시해야 한다. 수학영역에서는 공통과목(75%)인 수학 I·Ⅱ 외에도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사회·과학탐구영역에서는 사회와 과학 구분 없이 17개 선택과목 중에서 최대 2개 과목을 선택할 수 있다. 직업탐구에서는 6개 과목 중 최대 2개를 선택할 수 있으며, 2개 과목을 선택할 경우 전문 공통과목인 '성공적인 직업생활'을 응시해야 한다.

영어와 한국사,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절대평가로 치러지며 한국사·탐구 영역 시험에서는 수험생에게 한국사와 탐구 영역 답안지를 분리해 별도 제공한다. 교육방송(EBS) 수능 교재 및 강의와 수능 출제의 연계율은 영역·과목별 문항 수 기준으로 50%다. 과목 특성에 따라 간접연계로 출제되고, 영어 영역에서는 올해도 연계 문항을 모두 간접연계 방식으로 출제한다.

특히 올해 수능에는 이른바 '킬러문항'으로 불리는 초고난도 문항의 출제를 지양하는 기조를 유지하는 한편, 출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교육부가 마련한 '수능 출제 및 이의심사제도 개선안'이 적용된다. 우선 출제 1·2차본 검토와 최종 검토 사이에 고난도 문항 검토 절차가 신설된다. 기존 사회·과학탐구 영역 8개 과목군에 1명씩 총 8명이던 검토자문위원을 일반사회(2명), 생명과학(1명), 지구과학(1명) 과목군에 4명을 늘려 12명으로 확대한다. 출제 기간도 기존 36일에서 38일로, 이의심사 기간은 12일에서 13일로 늘린다.

이 원장은 “지금까지 9번의 수능 출제오류가 있었는데 그때마다 개선 방안이 도입돼 상당부분 개선됐다고 생각한다”면서 “이번 개선안도 사회·과학탐구를 비롯해 출제 오류를 개선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평가원은 수험생에게 학업능력 진단과 신유형 적응 기회를 주고 응시자들의 학력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두 차례 모의평가를 시행한다. 6월 모평은 6월 9일에, 9월 모평은 8월 31일에 각각 치러진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