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2년 연속 신차에서 '톨루엔' 기준치 초과

입력 2022-02-28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현대차 "실내내장재 부품 관리ㆍ공정관리 전반 개선"

▲국토교통부, 2021년 신차 실내공기질 조사 결과. (국토교통부)
지난해에 이어 올해 신차 실내공기질 조사에서도 현대차에서 톨루엔이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됐다.

국토교통부는 2021년에 국내에서 제작·판매된 6개사 18개 차종을 대상으로 진행한 신차 실내공기질을 조사한 결과 현대 그랜저(2.5 가솔린)가 권고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나 시정조치했다고 28일 밝혔다.

국토부는 2011년부터 매년 신규 제작·판매차에 대해 실내 내장재로부터 방출되는 8개 휘발성 유해물질(폼알데하이드, 톨루엔, 에틸벤젠, 스티렌, 벤젠, 자일렌, 아르롤레인, 아세트알데하이드)의 권고기준 충족 여부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발표해왔다.

현대 그랜저는 톨루엔이 권고기준(1000㎍/㎥)을 초과한 1228.5㎍/㎥가 검출됐다. 톨루엔은 자동차 부품 마감재나 도장용 도료 등에서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로, 비발암 물질이지만 일반적으로 새 차에서 특유의 냄새를 발생시키고 머리가 아프거나 눈이 따가운 것과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현대차 2021 그랜저 (사진제공=현대차)
다만 현재 생산되는 차량이 기준에 적합한지 확인하기 위해 무작위로 5대를 선정해 시행한 추가시험 결과에선 5대 모두 권고기준을 만족했다.

현대차 측은 권고기준 초과 원인이 콘솔박스 스토리지 부품 제작 과정 중 이를 건조하는 설비가 톨루엔에 오염돼 ‘설비→부품→차량’으로 기준치 이상 조사된 것으로 추정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제작공정 중 부품 건조과정과 작업용 설비 부자재의 관리규정을 개선토록 조치했다고 밝혔다.

앞서 2020년 조사에선 현대차 GV80에서 톨루엔이 기준치를 초과한 1742.1㎍/㎥ 검출된 바 있다.

이에 따라 현대차는 유해물질 저감 재료 확대, 작업공정 개선 및 현장작업자 교육, 협력사 부자재 관리 강화 등 실내내장재 부품의 관리와 공정관리 전반에 대한 개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배석주 국토부 자동차정책과장은 “엄정한 조사를 통해 제작사의 실내공기질 관리 개선 노력을 적극적으로 유도해나가겠다”면서 “실내공기질 권고기준이 초과한 제작사·차량은 지속해서 추적 관리할 수 있도록 제도도 개선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