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악재에 실적 '비상'

입력 2022-02-25 13:47수정 2022-02-25 13:4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단기적으로 러시아ㆍ우크라이나 수주 전망 '빨간불'
시멘트 원료인 유연탄, 75% 러시아 의존…원자잿값 급등 불가피

▲크림반도의 도로를 달리는 러시아 장갑차. (AP/연합뉴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면서 국내 건설업계에 비상등이 켜졌다. 러시아의 불법 군사행동으로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가 대(對) 러시아 경제제재에 팔을 걷어붙였다. 당장 국내 건설업계는 러시아에서 2조 원 이상 수주실적을 올리고 있는 만큼 단기 충격이 불가피하다. 장기적으론 원자재 수급 차질로 공사비용 증가에 따른 실적 악화도 예상된다.

25일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건설사의 러시아 건설 수주액은 17억8450만 달러(2조1333억 원)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보다 14배 이상 급등한 수치다. 우크라이나 수주 실적은 30만 달러(3억5865만 원) 규모다.

러시아 내 주요 건설 사업장은 DL이앤씨 모스크바 정유공장 현대화 사업과 삼성엔지니어링 발틱 에탄크래커 프로젝트의 설계·조달 사업, 현대엔지니어링의 오렌부르그 가스 처리시설 EPC(설계·조달·시공) 사업 등이다.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 대부분 국가가 러시아 불법 군사행동에 경제제재를 검토 중이다. 만약 경제제재가 현실화되면 한국 기업의 러시아 내 공사 현장에 차질이 불가피하다. 앞으로 수주 활동도 중단될 가능성이 크다.

아울러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내 사업장 안전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이와 관련, 국토교통부는 지난 22일 우크라이나 현지에서 일하는 우리나라 근로자 4명 전원을 인근 국가로 대피시켰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우크라이나에 진출해 감리용역을 수행해왔던 국내기업은 현지 상황을 고려해 긴급히 건설 근로자를 대피시켰다”며 “러시아에 있는 국내기업 사업 현장의 경우 분쟁지역과 떨어져 있어 정상적으로 사업을 추진 중이며 안전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앞으로 기재부·외교부 등과 협력해 내국인 근로자의 안전 확보와 기업보호에 나선다. 또 해외건설협회와 함께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 진출한 국내기업의 문제를 해결할 민관합동 긴급 상황반을 운영하고 운영을 시작한다.

장기적으로는 원자재 가격이 치솟아 건설사 영업이익에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당장 시멘트의 주원료인 유연탄 가격 급등이 문제다. 국내 시멘트업계는 전체 유연탄의 75% 이상을 러시아산으로 충당하고 있다. 러시아 경제제재로 수입이 끊기면 시멘트값이 비싸질 수 있다.

이 밖에 콘크리트 타설에 쓰이는 거푸집의 일종인 알루미늄폼 가격도 오를 전망이다. 러시아는 세계 2위 알루미늄 생산국으로 경제제재가 시행되면 알루미늄 가격이 급등할 수밖에 없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