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하성‧김상조 디스커버리 투자 논란…펀드 사고 때마다 등장하는 정관계실세들 왜?

입력 2022-02-14 15:5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장하성 주중대사(전 청와대 정책실장)와 김상조 전 청와대 정책실장(전 공정거래위원장). (뉴시스)

환매 중단 사태로 거액의 투자자 피해가 발생한 디스커버리자산운용 사모펀드에 청와대 실세들이 가담한 사실이 알려지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굵직한 사모펀드 환매중단 사태 때마다 유력 정관계 인사들이 단골손님처럼 등장하는 이유는 왜 일까.

14일 법조계와 관련업계에서는 여권 인사들의 사모펀드 투자를 일종의 사모펀드 운용사의 영업 전략으로 봐야 한다는 분석을 내놨다. 정관계 인사들의 인맥과 영향력 등을 이용해 사모펀드 투자자 확보를 위한 홍보 발판으로 삼는다는 것이다.

정치권 사정에 밝은 한 변호사는 “은행‧금융권에 영향을 행사할 수 있는 정관계 인사들을 사모펀드에 모셔오면 투자자들을 모을 때 좋은 홍보 수단이 될 것”이라며 “특히 정권 초기에 정책 드라이브를 걸었던 인물이 있다면 투자자들은 수익률이 높고 안정적일 것이라는 기대감을 가질 수 있다”고 말했다.

고액자산가를 상대하는 은행권의 한 프라이빗뱅커(PB)도 "유력 정치인이나 은행장 등이 가입한 펀드는 사모든 공모든 형식에 구애없이 관심이 많다. 소위 이름값을 할 것이라는 믿음 때문"이라고 전했다.

디스커버리 대표이사인 장하원 씨는 장하성 주중대사(전 청와대 정책실장)의 동생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금융업계에서는 ‘장하성 동생 펀드’로 불리기도 했다. 2016년 만들어진 펀드이지만 장 대사가 문재인 정부에서 정책실장을 지낸 2017년부터 본격적으로 판매되며 이름을 알렸다. 김상조 전 청와대 정책실장도 문재인 정부 첫 공정거래위원장으로 임명된 직후 펀드 투자자에 이름을 올렸다.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실에 따르면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은 2018년 5168억 원에 달하는 펀드를 판매해 전체 사모펀드 판매 1위에 올랐다. 전년 대비 증가율도 449%에 달했다. 2017년엔 942억 원어치를 판매해 판매금액 순위 4위를 차지했었다. 장 대사와 김 전 실장이 투자한 시점은 2017년 7월이다.

사모펀드 환매중단이나 금융범죄 발생시 정치권 인사들이 이름을 올린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이명박 정부 때 터진 부산저축은행 사태에는 당시 정권 실세인 은진수 전 감사원 감사위원이 개입했다. 한나라당 수석부대변인과 2007년 대선 이명박 후보 캠프 법률지원단장, 대통령 인수위원회 법무행정분과 자문위원을 지냈던 은 전 위원은 당시 부산저축은행으로부터 감사를 무마해달라는 청탁을 받고 다이아몬드 등 억대 금품을 챙긴 바 있다.

3만여 명에게 1조 원대의 피해를 야기한 밸류인베스트코리아(VIK)는 진보 인사들과 가까웠다. 투자금을 끌어모으던 2012~2014년즈음 변양균 전 장관, 김수현 전 청와대 정책실장 등이 VIK를 홍보했다. 유시민 전 노무현 이사장도 강연에 나선 사실이 알려지면서 구설에 오르기도 했었다. 당시 VIK가 정치권 인맥을 통해 투자자들을 끌어왔다는 말들이 나오곤 했다.

한 사모펀드 운용사 대표는 “정치인을 영입하고 이를 통해 홍보하는 것은 대규모 환매 중단 사태를 일으킨 ‘라임펀드’와 같이 정상적이지 않은 펀드 운용사나 하는 행태다. 대부분의 사모펀드는 이처럼 영업하지 않는다”며 “좋은 상품이면 알아서 영업이 잘 되는데 수익률도 불안하고 펀드 자체가 불안정하니 정관계 인사들을 얼굴 마담으로 동원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