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뒤 도시가스에 수소 혼입해 이산화탄소 줄인다

입력 2022-02-08 12:3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수소혼입 실증 추진단 발족…10% 혼입하면 연간 129만톤 CO₂↓

(자료=산업통상자원부)

4년 뒤 도시가스에 20%의 수소를 혼입해 이산화탄소를 감소할 수 있는 길이 열릴 전망이다. 부피의 10%만 혼입해도 연간 129만톤의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8일 박기영 2차관 주재로 추진단 발족 및 간담회를 열고 2026년까지 도시가스에 수소 20% 혼입 실증을 올해부터 추진한다고 밝혔다.

도시가스 수소혼입은 도시가스 공급배관에 수소를 도시가스와 혼입해 공급하는 것이다.

산업부는 2026년 도시가스 수소 20% 혼입 상용화를 목표로 올해부터 도시가스 배관 및 사용기기의 수소 호환성 및 안전성을 실증한다.

산업부, 가스안전공사, 가스공사 등 관련 공공기관 및 민간 도시가스사가 참여하는 도시가스 수소혼입 실증 추진단을 발족했다.

수소혼입 실증을 위해 1단계로 2023년부터 정부 R&D 과제를 통해 도시가스 배관에 대한 수소 호환성 및 안전성을 검증한다.

2단계로 2024년부터는 R&D 검증결과를 바탕으로 배관재질, 배관망 형태 및 주민 수용성 등을 고려해 제한된 구역에서 실제 도시가스 배관망에 수소혼입 실증을 추진한다. 2026년에 ‘도시가스사업법’을 개정해 수소혼입을 제도화하는 것이 목표다.

우리나라 연간 천연가스 사용량은 4000만톤인데, 수소를 10vol%(부피 비율) 혼입하면 연간 129만톤의 천연가스 사용이 줄고, 이를 통해 연간 355만톤의 이산화탄소 줄 것으로 예상된다.

또 전국 곳곳에 연결돼 있는 도시가스 배관망(5만㎞)을 사용해 수소를 공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소 전용배관망이 갖춰지기 전에 수소경제 활성화의 기반을 다진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가스공사 및 도시가스사 등은 해외 실증사례 분석, 시험설비(파일럿 설비) 구축, 수소혼입 실증 및 운영기술 개발을 담당한다.

박 차관은 “도시가스 수소혼입은 온실가스를 감축할 뿐만 아니라, 수소 공급의 경제성 제고와 수소경제를 가속화 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이라며 “수소가 수송용 연료뿐만 아니라, 가정과 산업시설을 위한 주요 에너지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도시가스 배관망은 2012만개(2020년기준)의 수요시설에 연결돼 국민생활 안전과 직결되므로 안전성 검증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