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만 원권' 수명은 14년 10개월… 작년보다 4개월 늘었다

입력 2022-01-06 12:10수정 2022-01-06 13:2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코로나19 속 비현금 결제 증가 추세

(한국은행)
한국은행 창구에서 발행된 5만 원권 지폐가 더는 사용하기 어려울 정도로 손상되기까지 걸리는 유통수명이 14년 10개월(178개월)로 나타났다. 2020년(14년 6개월)보다 4개월 늘었다.

코로나19 사태와 각종 페이 등 비(非)현금 결제 수단이 보편적으로 사용되면서 우리나라 지폐의 유통수명이 지속해서 길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6일 한국은행의 2021년 은행권 유통수명 추정 결과에 따르면 5만 원권의 유통수명은 178개월(14년 10개월), 1만 원권과 1000원권 유통수명은 각각 131개월(10년 11개월), 61개월(5년 1개월)이었다. 5000원권은 63개월(5년 3개월)이다. 5만 원권은 전년보다 4개월 늘었고, 1만 원권과 1000원권은 1개월, 5000원권은 3개월 늘었다.

1000원권과 5000원권 등 저액권은 주로 물품·서비스 구매, 거스름돈 등의 용도로 자주 쓰이다 보니 고액권보다 상대적으로 유통수명이 짧다.

은행권의 수명이 이처럼 늘어난 배경으로는 비현금 지급수단 사용 확대와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거래 확산 등이 꼽힌다.

코로나19가 확산하기 시작했던 지난해에는 은행권의 유통수명이 큰 폭으로 늘어나기도 했다.

나라마다 수명 추정 방식이 달라 정확한 비교는 어렵다. 하지만 우리나라 은행권의 유통수명은 주요국과 비교했을 때 저액권과 중간액권은 좀 더 길고 고액권은 상대적으로 짧았다.

한은은 "최저액권과 중간액권의 유통수명은 우리나라 은행권의 내구성과 국민의 올바른 화폐 사용 행태 등으로 상대적으로 긴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은행권 표본의 기번호(고유번호) 정보를 이용해 유통기간을 추산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